조기 의약품 치료로 시설 수용률·사망률 낮출 수 있어
치매안심센터 통해 환자 부담감 줄여주고 치매 정복 연구 가능

[의학신문·일간보사=김상일 기자]"치매도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노인성 만성질환이라고 생각하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잘 형성되어야 할 것입니다."

아주대학교병원 신경과 임태성 교수<사진>는 최근 의학신문·일간보사와 만난 자리에서 환자는 물론, 국가, 의료진 등이 치매 질병에 대한 인식 변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태성 교수는 "치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노인의 경제력 부족과 인식 부족이다. 약물치료 등을 통해 증상조절∙관리가 가능한데 임의로 투약이나 병원방문을 중단해 이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치매 역시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이 꾸준히 잘 관리하면 조절할 수 있는데, 치매로 진단 받는 순간부터 ‘치매환자’ 라는 멍에가 씌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임태성 교수는 “치매 초기 약물 치료는 시설수용률, 사망률 등을 낮출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며 “초기에 치료해 사회 속에서 환자가 어울려 살 수 있도록, 이상행동증상 발생 시기를 최대한 늦춰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그는 “초기부터 관리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와의 차이는 확연하며, 조기 발견하여 치료했을 때 국가적 비용이 줄어든다는 연구들도 많이 있다”고 설명했다.

치매를 조기 발견하여 조기 치료를 시작할 경우, 치매 환자의 가족은 향후 8년간 약 7,900시간의 여가시간을 더 누릴 수 있고, 6,400만원을 더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치매 초기단계부터 약물치료 시,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은 55%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바 있다.

임태성 교수는 조기 치매 치료를 강조면서 국가 치매안심센터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임태성 교수는 "치매는 다른 질환과 달리 부양 부담이 엄청난 질환인 만큼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치매안심센터는 환자들에게 부담을 줄여주고 환자와 가족들에게 통합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평가했다.

또 그는 "치매를 치료하는 입장에서는 관련 연구비가 신설되어 우리나라 치매 치료 기초연구 등에 물꼬를 트는 좋은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치매관리법 공포 이후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치매 연구·개발 사업에 국가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집행된 연구비 규모는 2012년 123억 원, 2013년 173억 원, 2014년 252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WHO 권고 수준인 국가치매관리비의 1%보다 훨씬 낮은 0.3% 수준이다.

임태성 교수는 “치매는 치료되지 않는 불치병이고 치매에 걸리면 끝이라는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며 “치매의 조기진단 및 초기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앞으로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가 나올 거라는 기대감 때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