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파펜틴, 식약처 품목 허가 거쳐야…사업 타당성·인프라 확보 부족해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만 40세 이상 잠복결핵검진과 리파펜틴 도입이 무산됐다.

질병관리본부는 21일 제3차 결핵전문위원회를 통해 생애주기별 대상자인 만 40세(1977년생) 건강진단 대상자(64만 명)의 잠복결핵검진을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현재 신속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인 리파펜틴에 대해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 허가를 거치도록 권고했다.

이와 같은 위원회의 결정은 40세 이상에서 발생되는 잠복결핵감염(late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LTBI)을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방안이 리파펜틴의 도입 보류로 무산됐기 때문이다.

현재 LTBI를 치료하는 방법은 기존에 허가받은 의약품으로 3~9개월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캐나다 연구진 등에 따르면 기존 결핵치료제는 간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WHO 지침에서는 결핵치료제가 간효소치의 상승을 보이는 경우가 있지만, 극히 일부에서 일어나며 대부분 미약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무엇보다도 리파펜틴 사용이 LTBI의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는데 도입이 무산된 것은 질병관리본부로선 아쉬운 점이다.

이와 함께 LTBI 양성자 치료를 위한 수용능력이 국가적으로 부족한 점도 애로 사항으로 꼽혔다. LTBI 치료는 활성화된 결핵 치료나 항생제 치료와는 달리 복용 중단과 재개가 반복되더라도 내성이 발생한 사례는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다만 LBTI 치료를 위해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한데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PPM)’ 등으로 커버하기에는 아직 인프라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역시 리파펜틴이 도입됐다면 치료 기간 단축‧인적 자원 투입 감소로 이어져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였다.

무엇보다도 만 40세 이상에게 잠복결핵검진을 광범위하게 실시하겠다는 사업 내용이 타당성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WHO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LTBI 관리를 반드시 하도록 요구하는 대상에 만 40세 이상 성인은 빠져있다”면서 “위원회에서는 WHO 가이드라인에 없는 사업대상자에게 검진 및 치료를 진행하겠다는데 대해 반대 의견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측은 만 40세 이상 성인에 대한 LTBI 사업은 제외되지만 현재 수립 중인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충실히 만들고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질병관리본부는 노인, 외국인 등에 대한 결핵관리와 다제내성 결핵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통일대비 결핵관리계획 등의 방안을 담을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결핵환자 신규 발생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히 늘고 있다”면서 “외국인 또한 결핵검진 및 치료비용은 무료”라고 강조, 철저한 결핵예방에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