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에서 금성까지 거리가 1억km, 화성까지가 2억3000만km니깐, 화성에서 금성까지는 대략 1억3000만km가 된다.

초등학교 때 암기하던 식으로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고 하면, 마지막인 명왕성까지의 거리가 60억km가 되니 화성-금성간 거리는 우주에서 보면 티끌만한 정도다.
인간관계를 연구하던 존 그레이(John Gray)는 1992년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책으로 일약 대스타가 됐다. 전세계 40개국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면서 한국에서도 연애서의 바이블처럼 여겨졌다.

내용은 간단하다. 여성은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를 풀기 때문에 남성은 그저 잘 들어주기만 해도 절반은 성공이라는 것, 반대로 남성은 혼자서 삭히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성은 그걸 이해하고 바가지 긁지 말라는 이야기다. 어찌보면 남녀 각자의 입장이 있으니 존중하라는 말이고, 더 포괄적으로 보면 사람은 바뀌지 않으니 바꾸려 하지 말고 그냥 받아들이고 이해하라는 메시지다.

진료실에서 환자를 보다 보면 환자와 의사와의 관계도 이와 다르지 않은 것 같다. 화성에서온 환자는 감기에 걸려 엉덩이 주사를 맞고 싶어 하지만 금성에서 온 의사는 주사제의 부작용을 설명하며 가급적이면 주사제 처방을 꺼린다.

그렇다고 환자가 엉덩이 주사를 맞지 않을까? 환자는 결국 화성에 가서 엉덩이 주사를 놔주는 화성인 의사를 찾게 되고 진료실 침대에 누워 자기 이야기를 듣지 않는 금성인 의사를 비난할지도 모른다.

소통(communication)과 융합(convergence), 그리고 통섭(consilience). 어찌보면 비슷비슷한 세 단어가 앞으로 모든 학문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텐데 특히 환자에 대한 전인적인 평가보다는 기관별로 연구를 하는 서양의학의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의료분야에서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소통과 통섭은 물리적인 섞임이 아니라 화학적인 결합을 필요로 한다. 물리적인 섞임은 언제나 분열의 위험이 있다. 화성과 금성의 거리도 물리적으로만 따지면 절대 가까워질 수 없지 않은가.

의사와 환자의 거리도 화학적 거리, 또는 감정적 거리로 좁힐 수 있지 않을까.

최근 공중보건의사협의회가 의사협회의 직역단체로 인정 받지 못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젊은 의사들도 나이가 들면 나이든 의사가 될 것이고, 지금 나이든 선배의사들도 한때는 젊은 의사였을 텐데 화학적으로 동일한 둘 사이에 이런 물리적 거리감은 언제부터 생겼는지 그저 궁금했다.

공중보건의사의 의견을 대표하는 대공협에게 ‘탈락’이나 ‘버림받음’이라는 표현은 부정의 느낌이 강해서 쓰기 싫고, 그래도 희망과 긍정의 아이콘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시 한 구절을 인용해본다.

“나는 보았다 단 한 번 궤도를 이탈함으로써 두 번 다시 궤도에 진입하지 못할지라도 캄캄한 하늘에 획을 긋는 별, 그 똥, 짧지만 그래도 획을 그을 수 있는 포기한 자 그래서 이탈한 자가 문득 자유롭다는 것을”(김중식 ‘이탈한 자가 문득’)

김기현
강진군보건소 공보의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