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사회의 가치관은 ‘양질의 삶’과 공정한 기회부여를 추구하는 복지사회 구현을 요구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는 인터넷, 스마트폰, SNS, 클라우드 컴퓨팅 등 정보산업기술 혁신에 따른 정보화 사회가 절정에 와있음을 실감케 하고 있다. 이에 사회발전의 패러다임은 정보화 사회에서 인간의 미래 생존과 삶의 질을 보장해주는 참다운 복지사회로의 변천과정에 있지 않나 생각한다.

이러한 복지사회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선 그간 구축해온 기간산업의 지속적 성장도 필요하고 국민의 어려운 삶을 해소해 주는 복지시혜의 확대도 중요 하겠으나, 보건·의료산업, 농식품산업 및 환경산업과 같은 복지산업 육성을 통한 새로운 동력을 찾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복지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 신성장동력산업으로의 육성시책을 전략적으로 더 강화하고 공공적 투자부문을 획기적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앞으로 신복지산업 육성은 단기간의 상업적 효과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국가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공공적 목적사업에도 적극 투자해서 기술개발 역량과 인프라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공공복지기술과 서비스는 우리가 원할 때 바로 가져다 쓸 수 있는 수단이 아니며, 바이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오랜 기간의 기술개발과 노하우의 축적을 요하는 지식집약적 기술 분야이다.

특히, 국민의 건강과 안전 관리기술 분야는 정부가 선투자해서 기반기술을 사전에 확보하고 국가적 역량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보건의료분야에서 오송과 대구에 첨단복합의료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제약산업 육성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향후 혁신형 제약기업의 육성과 혁신신약 개발의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는 고무적인 소식이다.
특히 보건의료 지원사업의 확충은 앞으로 글로벌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서 시급히 구축해 나가야 할 전주기적 신약개발 시스템과 기술역량 강화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우리가 기대하는 바, 국제경쟁력 있는 제약산업의 육성은 지원시설 구축과 제도적 장치 마련만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지원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둬나가려면 △다양한 제품과 기술적 특성을 올바로 인지하고 이에 맞는 지원목표의 설정 △기 개발된 원천기술의 실용화 연계연구 지원의 확대 △기술 분야 간 그리고 기술개발 주체 간의 협력체제 구축 방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이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확보가 시급히 이뤄 져야 한다.

또한 첨단복합의료산업단지의 지원사업은 소재지역의 관심분야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원천기술 공급원의 다변화와 시장수요의 확대를 위하여 타 지역의 기업과도 협력할 수 있는 거국적 ‘초광역권지원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정책적 전환도 중요한 과제이다.

한문희

바이오협회 명예회장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