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김상일 기자]최근 들어 다국적제약사의 품절 사례가 잦아지고 있다. 품목도 희귀질환 치료제부터 백신, 점안액, 항암제까지 다양하다.
품절 원인으로 수입시험 일정 지연을 비롯해 코로나이후 해외 제조소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잦아지면서 대안을 찾고 있지만 문제는 국내에서는 대안이 없다는 부분이 더 크다. 무작정 기다리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
국내 생산 공장을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국내 제약사들과 협력을 통하나 기술 이전 등에 대한 요구가 있지만 다국적제약사로서는 높은 생산비용과 시장 규모, 규제 문제 등을 들어 국내 생산엔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일각에서는 품절 의약품 관리 방안으로 약가 인상을 비롯해 대체 조제 등의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같은 방안으로는 2%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정책적인 부분과 함께 공공생산시설 구축, 국내 위탁 생산 활성화, 중장기적 기술 자립 전략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결국 품절 의약품 발생은 진료현장에서 의료진들에게 치료에 제한을 받는 짜증을 유발하고 환자들에게는 비용 논리앞에서 정당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가 최소한 받아야 하는 치료 기본권을 위협받기 때문이다.
해외 제조소에서 생산라인에 문제가 발생했을때 우리가 겪게 되는 현실은 단순한 ‘품절’이 아닌 의료 시스템과 의약품 유통 시장의 한계를 드러내고 그 공백이 계속되고 지속된다면 다음 의약품 품절은 치명적일 수 있다.
다국적제약사들은 자사 주요 의약품 품절을 통보하면서 정확한 이유는 표기하지 않고 그나마 제조소 문제라고만 통보를 이어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특히 다국적제약사들은 공급 부족에 대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대체할 생산 시설도 없고, 공급 재개 일정조차 명확하지 않은 현실에서 이런 답변은 위로로도 기능하지 못한다.
단순히 “일정 지연”이라는 말로 퉁치는 느낌은 국내 의약품 유통 시장에서 한계를 느끼게 하고 국내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빈틈을 야기시키고 있는 부분이 보이는 것은 기자뿐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