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역대급 연휴였던 올해 설 명절 중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가 연일 큰 관심을 모았다.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 백강혁(주지훈 역)이 유명무실한 대학병원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그린 이번 작품은 의학드라마는 필승한다는 공식을 계승하고, 글로벌 대작인 오징어게임 시즌2의 인기도 넘어버렸다.
대선 가도를 달리는 보건복지부장관의 낙하산으로 ‘닥쳐 닥터’로 불릴 정도로 인품은 살짝 오락가락하지만, 천재적 의술 실력과 어마무시한 체력을 가진 초인에 가까운 비현실적 캐릭터로 팔에 문신도 크게 세긴 의사 주인공이 헬기를 직접 조종하고, 강하도 거뜬히 해내는 등 온갖 판타지적 요소를 담고 있지만, 일종의 메디컬 히어로물로 연휴에 즐기기에는 제격이었다.
물론 다큐가 아닌 허구의 드라마이기에 의학적 고증을 건너뛴 부분도 제법 있다. 어떤 장면은 아예 불가능하다는 걸 자문한 병원 의료진과 제작진도 인지했겠지만 ‘극적 재미’를 위한 연출을 활용하고 드라마적 몰입감을 올릴 수 있는 사례를 추가했다.
끝없는 위기와 시련을 극복하고 오로지 환자만을 생각하며 달려나가는 의료진들을 바라보는 것은 낭만적이지만 직업병(?)처럼 고민해야 할 부분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증외상팀 구조상 환자를 진료할수록 심해지는 적자 속 돈이 사람의 생명보다 우선시 될 수 있느냐는 부분, 극중 절차의 중요성이 일부 도외시 되는 지점과 개인의 희생만으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는 것도.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상급종합병원과 중증외상센터 존재의 의미, 현실과 한계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극중 주인공에 “생명에 인색한 시대는 끝나야 한다”는 한마디는 이와 더불어 큰 울림도 준다.
또한, 혼자만이 아닌 의대 교수 그리고 전공의와 간호사가 팀을 이뤄 온갖 역경을 헤쳐나간다는 부분도 깊은 감동을 느낄수 있었다. 의대정원 증원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으로 인한 의정갈등이 지속하는 가운데, 의대생과 전공의의 복귀는 아직인 현실 때문이다.
신들린 스킬을 발휘하는 백강혁 교수도 방송사 인터뷰에서 “내가 아닌 우리가 함께해낸 것”이라고 말한다. 드라마 속 함께 팀을 이룬 외상외과 펠로우, 마취과 4년차 전공의, 5년차 시니어 간호사가 없이는 절대 이룰 수 없는 성과였을 것이다.
번외로 올해 상반기 방영 예정인 tvN 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메시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진다. 제목처럼 언젠가는 의료 상황이 슬기롭게 정상화돼 작금의 어려운 현실을 문득 떠올리기 보다 온전히 드라마의 재미를 흠뻑 즐길 수 있기를 바래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