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따르면 지난해 수요조사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5일 오전 발표
상당수 대학이 2배 이상 증원 원해...학생들과 교수들은 의학교육 질 저하 우려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지난 4일 전국 의과대학 정원 증원 수요조사가 마감된 가운데, 대부분 대학이 의대증원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당수의 대학이 기존 정원 대비 2배 전후의 규모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2천명 이상의 증원 수요로 나타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박성민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이뤄진 의대 정원 수요조사와 비슷할 것을 전망한다고 알렸다. 지난해 수요조사에서는 최대 2151명, 최대 2847명의 증원 수요가 있었다.

정부는 5일 오전에 구체적인 증원 수요를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울산대는 현재 40명인 의대 정원을 120∼150명(200∼275%)으로 증원해 달라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상 국립대는 지난해 수요조사에서 이미 현재 76명인 의대 정원을 200명으로 163% 늘려 달라고 요청했으며, 올해도 비슷한 수준으로 전해졌다. 강원의대는 100명 증원을 희망하고 있다.

아주의대 학생협회에 따르면, 아주대는 현재 40명은 정원을 최소 100명에서 최대 150명으로 증원하는 것을 희망중이다. 제주대는 40명인 정원을 100명까지 늘려달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천대와 인하대 등 50명 이하 규모인 소위 미니 의대도 이번 기회를 통해 기존정원 대비 최소 2배에 가까운 인원을 증원할 계획이라는 후문이다.

동아대의 경의 49명인 정원을 2배 가까이 늘리는 것을 검토했으며, 가톨릭관동대도 2배 가까이 증원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대는 110명인 정원을 최대 300명까지 늘리는 의견을 교육부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대, 가톨릭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등은 비공개 입장을 밝혔으며 연세대는 4일까지 의대교수들의 반발을 의식, 증원 규모를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의대 정원 신청을 위해 제출해야 할 서류 등은 준비가 됐으나, 증원 규모 등 구체적인 숫자는 저녁 늦게까지 논의가 이뤄질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윤 총장은 "전국 의과대학 학장들이 주최하는 전체 교수회의를 통해서 결정된 의견을 강하게 대학에 제시하고 있다"며 "증원이 여러가지 여건상 힘들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대학 본부에다가 요청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의대교수들과 학생들은 현 시설 확충없이 무리한 증원시 의학교육 질 저하를 우려하는 중이다.

아주의대 학생들은 100~150명까지 의과대학 인원 증원이 이뤄진다면, 현재 실습구조와 의과대학 교육시설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현재 아주의대는 꽉 채워도 66명까지만 앉을 수 있는 강의실과, 12구 이상의 카데바를 배치할 수 없는 해부실습실, 공간이 협소해 4~5명만 쉴 수 있고 모든 학년이 공동사용하는 남녀 휴게실, 학생들의 TBL과 PBL을 진행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세미나실 개수, 22대 밖에 없는 EMR 컴퓨터 등 열악한 시설”이라고 말했다.

또한 PK 실습실도 실습과정에서 술기 장비가 부족해 파손된 장비로 연습하거나, 아예 장비를 사용해보지 못한 채 관찰만하고 지나가는 정도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아주의대 학생들은 “교육시설을 더 마련하지 않은 채 학생수를 3~4배로 늘릴 시 쾌적하고 건강한 캠퍼스 생활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궁금하다”며 “100명에서 150명으로 의과대학 정원이 바뀐다면, 언급한 교육 질 문제가 매우 가속화될 뿐만 아니라 더욱 심각한 문제들이 나타난다”고 비판했다.

구체적으로 손가락 근육하나 해부하고 본과로 진입한다거나, 배운 이론을 실제 환자 케이스에 적용해보지 못한 채 진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전망했다.

의대증원으로 내홍을 겪는 중인 경북대병원 교수들도 교수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증원할 시 의학교육 질적 저하를 우려하고 있다.

또 다른 지방의대 교수도 "지난해 수요조사때 대학 실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의문"이라며 "해부실습실을 비롯해, 강의실문제도 있고 여러가지로 애로사항이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국립대들의 경우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지역대학통합사업이 이뤄지는 데다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RIS) 사업으로 여러 이해관계가 엮여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