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발언에 복지부 공감…1조원 펀드 통한 비용지원 및 정책개선 다짐

(왼쪽부터)허종성 의원, 서홍관 원장, 권덕철 장관
(왼쪽부터)허종성 의원, 서홍관 원장, 권덕철 장관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종합국감에서 국산 항암신약개발을 위한 요소로 ‘연구자 통합플랫폼’과 ‘임상시험 공동네트워크’에 공감대가 마련됐다.

20일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는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참고인),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의 질의응답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이 확인됐다.

허종식 의원은 “우리국민중 25만명 암에걸리고 중 8만 2000명이 숨지고 있는 상황에서 항암치료제는 우리나라가 전액 만들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며 “항암주권까지는 못되더라도, 연구과정에서 임상으로 올때 (비용적) 어려움이 있어 모두 기술수출로 팔아버려 좋은 항암제가 나오질 않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 노력으로 어떤 방안이 필요한지 묻기 위해 서홍관 참고인을 불렀다”고 취지를 밝혔다.

서홍관 원장은 “현재 암은 사망원인 1위로 2, 3, 4위를 모두 합쳐야 비슷할 정도로 압도적인 사유로, 암을 극복하지 않고는 대한민국 국민 건강을 회복할 수 없다”며 “국립암센터는 설립 20년이 됐는데, 20년간 암의 5년의 생존률은 많이 향상됐다. 40% 수준에서 현재 70%까지 상당히 놀라운 향상을 보였다”며 국내 높은 암치료 성과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 모든 치료 성적은 선진국의 암 치료 기술을 도입한 결과로, 우리가 새로운 신약을 개발하는 것은 없다”며 “1조원 이상의 국내 항암시장에서 약 80%가 다국적 기업(글로벌제약사)이 차지하고 있고, 국내 기업의 20%도 대부분 특허가 만료된 약의 복제약으로, 우리나라 글로벌 신약은 없다”고 한계를 언급했다.

서 원장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발비와 임상연계 두 가지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1개의 약제가 성공하기까지 약 10년, 비용이 1조원이 드는데 성공확률이 매우 낮은 고위험 사업으로, 우리나라 제약 기업이나 바이오산업에서는 후보물질을 개발하더라도 개발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기술수출 형태로 판매하고 성과를 가져갈 수 없어 고유의 신약을 개발하기 어렵다고 서 원장은 분석했다.

또한 암 조직이나 혈액, 임상자료 등이 제대로 연구자들에게 연계돼야 국내 기업의 신약개발이 가능하다고 짚었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질병관리청 바이오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코빅, 범부처 국가바이오 빅데이터 등 파편화 돼 있어 통합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한 기관의 임상시험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다 기관이 연결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영세한 국내 기업체들로부터는 비용·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짚었다.

권덕철 장관은 이에 대해 R&D 비용지원과 연구자원 통합, 공동임상 네트워크 3개 분야에 대해 각각 응답했다.

권 장관은 “WHO 무역 분쟁 때문에 정부가 (기업에) 직접적인 지원을 못하는 상황으로, 펀드를 1조원 단위까지 해서 그러한 노력을 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 연구자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뱅크 부분은 정부 내에서 통합해서 운영하면서 연구자가 접근 할 수 있도록 해보도록 하겠다”며 “임상 네트워크도 서로 연결해서 할 수 있도록 하고, R&D 분야에 대해서는 전체적 으로 과학기술혁신본부와 협의해서 문제 해결중심으로 배분이 점차 이쪽(보건의료쪽)으로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