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식 교수, "지역약국 머리 맞대야"… 구조·기능적 변화도 ‘필수’

[의학신문·일간보사=김민지 기자]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이 사업모델로 정착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표준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성이 제기됐다.

박경식 교수

23일 온라인으로 열린 대한약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박경식 청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교수는 ‘변화하는 약업경영 환경에서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사업모델’에 대해 발표했다.

박 교수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건기식에 대해 제한적인 조건을 갖춘 경우에만 재포장해서 소분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기성 맞춤형 기존 제품에서 다양하게 소분판매를 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개인 맞춤형 건기식이 활성화될 때 오남용 방지, 이상사례 보고 측면에서 지역약국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건기식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는 기반이 먼저 이뤄져야 하고 건기식 섭취를 통한 이상사례 발생에 대해 이상사례를 보고할 수 있는 전문가 집단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박 교수는 지역약국이 개인 맞춤형 건기식과 관련해 표준 가이드라인을 고민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개인 맞춤형 건기식에 대해서는 지역약국 개별적으로 접근하기는 어렵다”며 “지역약국이 연합해서 표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개인정보를 활용해 맞춤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기성맞춤이나 주문맞춤에 따라 맞춤형 제품의 형태도 고려돼야 사업 모델로 정착하는데 필요조건을 만족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건기식이 지역 약국에서 사회 모델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구조·기능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박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구조적으로는 지금처럼 지역약국이 폐쇄적인 구조를 가져서는 건기식 소비자 선택이 저조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CVS나 부츠 같이 헬스케어 센터로 개방형 구조로 전환돼야 한다”며 “기능적으로는 약사들이 소비자들에게 정보전달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체계가 보다 쌍방향 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기능적 측면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그는 건기식을 독립적인 사업모델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무엇보다도 건기식을 독립적인 사업모델로 인식하는 인식의 전환이 지역약국에서 필요하다”며 “건기식이 사업 모델로 정착하려면 중요성, 독립적 비즈니스 모델로 인식하는 인식의 전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