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 의료 표준화 효과 불구 초기 과비용으로 주저

일본은 2억엔 무상지원…부처별 지원방안 필요
서울대병원 등 10개 병원, 30일까지 'EMR 공동구축 협정서 체결' 계획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국립대병원간 EMR(전자의무기록) 구축이 높은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예산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24일 각 국립대병원에 따르면, 전국적 의료 네트워크 구축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중인 '국립대병원 EMR 공동구축' 계획이 초기 비용부담으로 더딘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울대병원은 자체 개발한 EMR 솔루션을 파격적인 단가로 공급한다는 뜻을 각 병원에 전달하고 공동구축 방안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서버와 백업시스템 등 하드웨어에만 평균 60억원의 투자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돼 병원별 최종선택에 부담감을 더해주고 있는 실정.

게다가 이미 각 병원이 추진중인 OCS, PACS 등의 의료전산화 진척 정도와 범위가 서로 달라 동일한 EMR 솔루션으로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시스템상의 문제점도 내재돼 있는 상태이다.

이를 위해 국립대병원들은 교수와 직원으로 구성된 테스크포스팀을 구성해 EMR 공동구축에 따른 문제점과 병원별 상이한 입장을 조율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걸림돌은 재정문제로 신축병원 건립과 누적적자 및 내년도 예산삭감 등의 경영불안 요인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수 십 억원을 자체 부담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C 대학병원 기조실장은 "내년도 신축병원 건립과 맞물려 EMR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는 공감하나 초기 비용이 만만치 않아 추가적인 예산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나 쉽지 않은 실정"이라며 투자비용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더욱이 공공의료를 담당하는 국립대병원의 특성상 전국 단위의 네트워크 구축은 진료의 표준화와 적정성 및 연구·교육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면에서 결국,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이 적극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일본의 경우, EMR 표준에 따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전국 600여 병·의원을 대상으로 약 2억엔(한화 2,1000억원 상당)의 자금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서울대병원 등 10개 국립대병원은 이달말(30일)까지 '의료정보 분야 표준화 및 발전협력을 위한 협정서 및 양해각서'를 공동 명의로 체결하고 향후 대정부 재정지원을 이끌어낸다는 복안이다.

특히 이들 병원들은 부처별 지원방안으로 △정통부:정보화 촉진기금 활용편의 △교육부:EMR 구축을 통한 국립대병원 경영혁신 지원예산 △복지부:EMR 의료수가 신설 등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서울대병원 고위 관계자는 "국립대병원 EMR 공동구축 사업은 한국 의료계의 정보화를 주도해 결국 국가 의료표준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국민의료 향상을 위한 이같은 병원계의 노력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