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1,300여명 3,500여만원 후원키로 - 5·18 당시 의료진의 감정과 거의 비슷

[의학신문·일간보사=차원준 기자] 전남대학교병원이 군부의 폭압에 항거하는 미얀마 국민과 의료인들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며 후원에 적극 나섰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야전병원을 방불케 했던 전남대병원은 군사 쿠데타 발생 후 민주화 열망을 불태우고 있는 미얀마 국민들과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이 되고 있는 의료진을 응원하고자 전 직원의 뜻을 모았다.

전남대병원 본원을 비롯해 화순전남대병원, 빛고을전남대병원, 전남대치과병원 직원 1,340명의 정성을 모은 총 3,560여만원의 성금을 마련했으며, 26일 미얀마광주연대인 (재)5·18기념재단에 전달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성금은 시민불복종운동인 CDM 파업에 참여해 180여명이 기소되고 치료할 권리를 보장해달라고 군부에 촉구하는 미얀마 의료인들의 용기 있는 행동과 부상자 치료과정서 겪은 심리적 고통을 공감하며 마련됐기에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전남대병원은 ‘오월광주’ 당시 군부의 무자비한 진압에 따른 수많은 부상자들을 밤새도록 치료하면서 희생을 최소화하고, ‘광주정신’을 확립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당시 계엄군의 발포 이후 병원은 사상자로 가득했으며, 초응급 수술은 밤낮없이 진행됐고 계엄군의 병원을 향한 사격도 있어 사실상 전남대병원은 야전병원과 다를 바 없었다.

하지만 단 한 생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해 꿋꿋하게 병원을 지키며 본연의 업무를 수행했던 의료진의 사명감은 이후 국내·외 의료계의 표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전남대병원은 당시 직접 진료활동을 했던 의사·간호사·임상병리사 25명의 생생한 증언을 담은 ‘10일간의 야전병원’이라는 증언집을 지난 2017년 발간해 언론·의료계·관련 단체 및 시민들의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증언집은 오월 광주의 긴박했던 상황과 최악의 여건에서 극에 달한 분노·절망·공포를 억제하며 의사의 책무를 다해야만 했던 인간적 고뇌도 담겨 있어 5·18민주화운동을 보다 깊이 있게 들여다 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번에 전남대병원이 미얀마 의료진을 적극 지지하고 나서게 된 것은 바로 41년 전과 비슷한 양상이 미얀마에서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미얀마 인권을 위한 의사협회와 15개 의·치·약대 학생연합이 국제기구에 ‘의료인으로서 부상자들의 가슴 아픈 사연을 수없이 접하고 눈앞에서 죽어가는 환자들을 보면서 무력함과 엄청난 죄책감을 느낀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대병원 의료진의 감정과 거의 흡사했으며, 현 의료진의 마음을 움직이게 된 것이다. ‘10일간의 야전병원’에도 미얀마 의료인의 심정과 비슷한 증언이 그대로 담겨있다.

당시 마취과 레지던트였던 유경연 전 전남대병원 교수는 ‘출혈이 너무 심했던 일부 환자는 혈액공급이 달려 수술을 포기해야 했던 때가 가장 마음 아팠던 순간이었다’고 그때의 상황을 회상했다.

또 오봉석 전 교수(당시 흉부외과 레지던트)는 ‘아이의 가슴과 척추에 박혀있던 총알을 꺼냈다. 총알이 중요 장기를 빗겨간 덕에 아이는 목숨을 건질 수 있었지만 다리는 영영 쓰지 못하게 됐다. 어린아이에게까지 총을 쏘다니 모든 의료진이 분개했다’고 써놓았다.

현재 미얀마에서는 군부가 반쿠데타 규탄에 참여하는 의료진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하고 있으며, 지난달 21일까지 시민불복종운동에 참여한 의료인 179명을 기소하는 등 의료계에 공포감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전남대병원은 광주정신을 이어받은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더 이상의 희생 없이 마무리되길 기대하고 있다.

안영근 병원장은 “비록 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이지만 5.18 민주화운동의 참상을 직접 경험한 전남대병원이 이웃국가의 비슷한 상황을 외면할 수 없었다” 면서 “이번 후원이 미얀마 의 민주화 열기에 힘이 되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