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국내 기업, 제품 인지도 극복 위해 안정된 판매 채널 GPO 통한 시장 진출 가능”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의 주류를 이뤘던 베이비부머 세대가 고령화를 향하고 있는 가운데 자신을 돌보는데 관심이 많고 소득이 높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특징이 있어 환자 중심 치료와 최소 침습 수술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에 수술기구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수술 기구 시장 규모(단위 US$ 백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최근 해외시장리포트를 통해 2020년 미국의 수술 기구 수입액(HS 코드 9018.90 기준)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32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주요 수입국인 멕시코로부터의 수입은 4억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30.2% 차지했으며, 이외에 독일 10.9%, 중국 8.9%, 아일랜드 7.9%의 순으로 시장을 점유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5160만 달러로 수입국 중 24위였다. 전년대비 5.4% 상승하였으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BIS World에 따르면 2021년 미국 수술 기구 생산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2.7% 성장한 443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향후 4년간 연평균 1.6% 성장해 2025년에는 467억 달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미국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령화, 비만 인구 증가 및 건강에 대한 인식 증가로 인해 수술 건수가 증가하고 있어 미국 수술 기구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장될 전망이다. 특히 2020년 65세 이상 미국 인구는 약 5590만 명으로 다른 연령의 인구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노령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으로 더 많은 수술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수술 기구 생산의 37.0%는 일반 수술 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정형외과 기구 및 임플란트 21.4%, 전기수술 기구 12.9% 등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미국 수술 기구 생산업체는 약 1,100개이며 2025년까지 연평균 0.2%씩 증가할 전망이다.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Services Inc.)과 메드트로닉스(Medtronics PLC)는 미국 수술 기구 2대 생산 업체로 미국 시장 점유율이 약 22%이다.

높은 인구 밀도, 의료비를 감당할 수 있는 충분한 소득 및 샌프란시스코, 실리콘 밸리, 로스앤젤레스와 같이 관련 연구 개발 기관과의 근접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캘리포니아주에 전체 기업의 19.1%가 소재하고 있다.

2025년까지 미국의 가처분 소득은 연평균 1.2%씩 성장할 전망이다. 성형 수술과 같은 선택적인 수술 건수는 가처분소득에 매우 민감한데, 가처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선택적 수술 건수가 증가해 관련 기구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중에서도 비용 절감과 의료 폐기물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수술 기구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재사용 수술 기구를 날카롭게 하거나 세척, 수리 및 유지 보수 등 서비스 사업 기회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수술 기구 업체들은 최소 침습 수술 관련 기자재 및 기술 개발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이는 통증이 적고 미용 상의 문제가 적으며, 합병증이 적기 때문에 최소 침습 수술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능형 풍선 카테터 시스템, 수술 로봇,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최소 침습 수술 관련 기자재 및 기술 개발이 한창인데 그 예로 기관지 내시경 시술을 위해 개발된 수술 로봇 플랫폼인 Auris Health의 Monarch, 망막, 유전자 치료 및 일반 안과 수술에 사용되는 로봇 시스템인 PRECEYES의 PRECEYES Surgical System 등이 있다.

Auris Health의 Monarch 수술 로봇 플랫폼

한편 한국 기업은 제품 인지도 극복을 위해 미국 의료기관의 구매를 대행하는 GPO를 통한 시장 진출 고려할 수 있다. GPO를 통한 구매는 미국 전체 의료기기 및 용품 구매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 구매 채널이다. GPO는 다수의 의료기관에 제품을 공급하므로, GPO에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면, 안정적인 판매 채널을 보유하게 된다.

보통 GPO는 공급업체가 지불하는 관리 수수료로 자금을 조달하는데 평균 수수료는 판매 가격의 1.22%에서 2.25% 사이다.

코트라는 "GPO는 공급업체와 의료기관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공급업체를 조사하고 협상하고 계약을 하는 과정을 모두 생략 가능해 시간,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으로 GPO를 활용한다"며 "또한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의료기관들은 평균 22%의 비용을 절약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