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세포유전자치료제‧재생의료 등 국내외 동향 전망

[의학신문·일간보사=정민준 기자]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은 오는 6월 9일부터 21일까지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되는 바이오코리아 2021(BIO KOREA 2021) 컨퍼런스에서 면역항암제, 세포유전자치료제 등 바이오헬스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치료제 개발 기술 세션을 운영한다.

최근 코로나19로 전 세계 제약바이오업계가 치료제 개발을 위한 경쟁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바이오 코리아 2021 컨퍼런스에서는 제약바이오시장 변화를 주도하는 치료제 개발 기술의 혁신을 살피고 그 발전방안을 고찰할 예정이다.

면역항암제는 면역세포가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제로서, 부작용이 적고 우수한 항암효과를 보여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암치료의 미래로 불리며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바이오코리아 2021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트렌드의 변화에 따른 면역항암제 개발에 있어 기술혁신과 상용화 전략을 논한다.

글로벌 세포유전자체료제 시장은 연평균 41.2%로 성장해 2025년 약 13조 9000억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차세대 치료제로서, 그 필요성과 시장규모가 증대되고 있다.

이번 바이오코리아 2021에서는 세포유전자치료제의 혁신 기술개발 사례를 다룰 예정이다.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의 규모는 2024년 768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국내외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8월부터 첨단재생바이오법이 시행됐고, 경쟁력 있는 기술개발을 위한 적극적 투자, 관련제도와 산업구조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바이오코리아 2021에서는 국내외 재생의료 발전을 위한 협력방안, 규제이슈, 발전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바이오코리아 2021에서는 이 외에도 다양한 주제를 다룬 컨퍼런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 신청 및 자세한 내용은 ‘바이오코리아 2021’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부 세션으로 면역항암제에서는 암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한 면역항암요법의 최신 연구’라는 주제로 최근 면역함항암제 효능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을 타겟하는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연구와 임상동향을 다룬다.

그 첫 번째로 호구감소증을 위한 글로벌 신약의 임상개발 전문가인 △미국 듀크 의과대학의 Jeffrey Crawford 교수가 종양학 면역요법의 최신 동향과 EC-18을 사용한 Enzychem’s의 접근 방식을 공유하고 △서울아산병원 이대호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가 복합 면역치료 요법과 암 치료에서 면역관문억제제의 저항성 극복 방안을 공유한다.

이어서 △한국과학기술원 신의철 교수와 BioConnexUS/Auctus 캐피탈 파트너스 Sundeep Lal 의료산업투자 대표가 항암 면역치료의 미래와 라이센싱 및 M&A 전략을 공유한다.

세포유전자치료제에서는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의 혁신 기술을 주제로 세포유전자치료제에 대한 공정 개발 단계부터 임상시험에 이르기까지 현재의 트랜드와 사례 및 다양한 규제적 관점을 이야기한다.

그 첫 번째로 △Merck Pte. Ltd의 David Loong 이사, △차바이오텍 유지민 실장이 바이러스 백터의 초기 생산 전략과 줄기세포치료제 대량 배양 공정 개발방법을 공유하고, △충남대학교의 김연수 교수와 Sidley Austin LLP의 Kelly Cho 변호사가 세포유전자치료제의 국내외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조건(CMC) 및 규제 조건을 공유한다.

끝으로 진메디신 윤채옥 대표와 Lonza Pharma & Biotech의 Nicholas Ostrout박사가 국내외 세포유전자치료제 공정기술 개발 사례를 공유한다. 이는 세포유전자치료제의 공정단계부터 임상단계까지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발표에 이어 연구자, 병원, CRO 등 관계기관 전문가들이 모여 줄기세포 연구가 연구단계에 그치지 않고 상업화에 이를 수 있는 안전하고 전략적인 접근방법에 대해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재생의료에서는 ‘재생의료 발전을 위한 병원의 역할과 산업계와의 협력방안’이라는 주제로 국내외 재생의료 발전을 위한 병원의 역할과 산업계의 협력방안을 이야기한다.

그 첫 번째로 연구중심병원을 통해 재생의료 중개임상연구를 하고 있는 △삼성서울병원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소에 장윤실 소장과 장종욱 교수가 연구중심병원을 통한 재생의료 중개임상연구 및 산업화 사례와 첨단재상바이오법의 적용 사례를 공유한다.

이어서 △CCRM의 Michael H. May 대표가 글로벌 재생의료분야 병원-산업계 협력 연구 성공사례를 공유하며, 재생의료 발전의 위해 병원과 산업계의 협력을 주제로 발표한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