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기자] ‘초등학교 반장 선거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대한의사협회 회장 선거.

3년마다 의사 13만여명을 이끄는 수장인 의협회장이 바뀐다. 하지만 매번 전체 의사 중 5% 미만이라는 부끄러운 지지율로 회장을 선출하는 일이 반복되는 것이 현실이다.

올해도 그 수준의 지지로 새 회장이 탄생하지나 않을까 벌써부터 걱정이다.

물론 의협 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가 회비를 충실하게 납부해 선거권을 가진 유권자를 철저히 파악하고, 단 한명이라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꾸준히 노력하는 중이다.

의협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선거에도 25일 오전 기준으로 5만6000여 명의 유권자가 확보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해(5만2510명)보다 수천명의 유권자가 더 늘어난 수치로, 선관위의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그동안 의협회장 선거를 살펴보면 선관위의 노력과 시스템 개선만으로는 저조한 투표율이 해결되지 않았다. 즉 당사자인 의사들의 관심과 참여가 유일한 해결책인 셈이다.

지난 2018년 40대 의협회장 선거에서도 유권자는 총 5만2510명이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아 투표에서 제외된 의사들은 8498명에 달했다. 게다가 이들을 뺀 4만4012명에서도 투표 참여자는 2만1556명(49%)에 불과했다.

이번에도 현재까지 6000명 수준의 유권자가 연락이 닿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나머지 5만명에서도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절반 수준만 참여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41대 의협회장 선거에서도 총 6명 후보가 출마했는데 각각 수천표를 나눠 가지면서 1등, 2등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결선 투표가 있어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의협회장을 선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실상 이마저도 총 유권자 수가 같은 상황에서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다. 심지어 결선에서 앞서 참여했던 모든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하리란 법도 없다.

결국 의협회장 선거는 선관위의 노력과 시스템 개선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당사자인 의사들이 직접 관심과 열정을 보여줘야할 때다. 의사회원들이 의협 회무에 대한 질책과 비판만 가할 것이 아니라 회원으로서 의무를 다하라는 의미다.

의무는 기본적으로 ‘회비’ 납부에서 시작돼야 한다. 회비를 납부해야 선거권을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시도, 구군 등 각 지역이나 과별 직역 등 회비를 낼 곳이 많아 부담스러운 것은 이해한다. 의협에서 특별히 자신을 위해 해준 것도 없으니 말이다.

그럼에도 비판만 하고, 무관심으로 일관해서는 곤란하다. 자신의 의무를 다하면서 자신의 손으로 의협회장을 선출하고, 그 다음 비판을 가하는 등 관심을 갖는 것이 의사회원의 도리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모든 의사들이 의협회비를 납부해 선거권을 갖고, 유권자로 선거에 참여함으로써 의료전문가단체인 의협의 위상이 높아지고, 더불어 회장의 권위와 책무 또한 높아지는 날이 오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