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욱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교수

[의학신문·일간보사] 최근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앞다투어 바이오헬스 산업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 1월 2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바이오 융합산업 분야 석·박사 교육과정 신설 및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재직자 교육 등에 약 17억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이어 26일에는 대전시가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10년간 5443억원을 투자한다는 ‘2030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마스터 플랜’을 제시하였다.

좀 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작년에 보건복지부와 산업자원통상부가 공동으로 한국형 NIBRT(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and Training) 교육프로그램 도입 및 바이오 공정 인력 양성센터 구축을 발표한 바 있고, 교육부와 충청북도가 연계하여 충북을 바이오헬스 인력양성의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청사진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최근 1~2년 사이에 여러 부처 및 각종 위원회에서 바이오헬스 관련 정책 및 인력 양성 계획들이 경쟁적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처럼 많은 바이오헬스 인력 양성 정책 및 계획들이 나오는 이유에는 바이오헬스 분야가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핵심분야임에도 불구하고 바이오헬스 분야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팬데믹 현상은 ICT기반의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투자 육성 및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더욱 촉발시킨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헬스 분야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산업을 선도해나 갈 핵심적인 분야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현재와 같이 정부 여러 부처에서 각기 바이오헬스 산업에 투자하고 인력 양성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단편적이고 파편화된 인력 양성을 초래함으로써 정책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해당 지역의 바이오산업 환경 강점 등을 내세워 경쟁적으로 바이오헬스 산업의 세계적 또는 아시아 허브로 지향한다는 교육 및 투자정책을 펴고 있지만 그 내용에 있어 별다른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바이오헬스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거시적이고 통합적 관점에서 바이오헬스 인력양성을 정책을 재고해보아야 할 때이다. 먼저 이를 위해서 바이오헬스 인력 양성 계획 수립의 주관부서를 명확히 함으로써 정책의 일관성 및 체계적인 집행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바이오헬스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인력 양성을 위해 복지부, 과기부, 산업통상부, 교육부 등 여러 부처가 관련이 될 수 있지만 바이오헬스에 그 중심을 두고 인력양성정책의 주관부서는 보건복지부로 하고, 타 부처들은 협력 및 지원부서로 관리체계 기준을 정립하도록 한다. 또한 체계적이고 효율적 바이오헬스 인력양성 정책수립 및 집행을 위해 보건복지부 또는 산하관련 기관에 바이오헬스 인재융합센터 설립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는 플랫폼 경제시대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정보의 통합 및 교류할 수 있는 기전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효율적 바이오헬스 인력양성 체계 수립을 위해서는 인력공급과 산업계 수요를 연계할 수 있는 인재양성 플랫폼을 구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인재양성 플랫폼 구축을 통해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수급 현황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교육기관-산업체 간 인력 미스매칭(Mismatching)을 해소하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바이오헬스 산업육성 및 인력양성을 함에 있어 바이오헬스 분야 중 어느 한 분야에 특화되어 집중할 수 있도록 예산 및 정책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바이오헬스 분야도 제약, 의료기기, 정밀의료, 재생의료, 바이오헬스 DNA, 화장품 등 여러 세부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정부는 관리자 및 조정자의 입장에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어느 한 분야에 특화된 인력양성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했다. 이는 교육이 장기적 안목과 계획하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사람에 대한 투자는 그 백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의미에서 교육의 비용대비 효과성이 크다는 것을 강조한 말이기도 하다. 따라서 비효율적 자원배분을 초래하는 바이오헬스 인력양성정책 수립으로 인해 국가의 백년지대계를 그르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