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주현
서울시의사회 홍보이사 겸 대변인

[의학신문·일간보사] 코로나 일일 확진자 수가 천명을 넘는 등 재유행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는 “지금이 K-방역의 성패를 걸고 총력으로 대응해야 할 시점이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검토 및 진단 검사, 역학조사로확진자 격리와 치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감염자를 최대한 신속하게 찾아내고 확산의 고리를 끊어내는 것이 근원적인 방법이라며 지원인력 긴급 투입, 임시선별진료소 설치, 검사량 확대와 신속항원조사 도 입 등 특 단의 대응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10월부터 거리두기 1단계 하향 및 다소 느슨해진 사회적 분위기 등을 고려할 때 현재의 대응은 뒤늦은 감이 있다. 무엇보다 코로나 낙인효과로 인해 무증상 감염자들에 의한 지역감염 확산을 막지 못했다는 것이 뼈아픈 대목이다.

지난 11일 통계청이 발간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에 따르면 국민들은 코로나로 확진되는 두려움보다 확진으로 받게 될 비난과 피해를 더 두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코로나에 확진될까 두렵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58.3%였던 반면, `확진을 이유로 비난받고 피해입을 것이 두렵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68.3%였다. 확진자 낙인을 두려워하는 것은 감염 책임을 환자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환자 본인책임도를 묻는 설문에서△환자 스스로 감염을 막을 수 있다△감염 책임은 환자 자신에게 있다△감염은 환자 자신의 잘못이다 등의 질문에 5월 조사 기준 모두 3점 이상 점수가 나왔다. 코로나 확산을 환자 개인의 잘못으로 여기는 경향이 높다는 것이다.

낙인효과는 비단 개인에게만 미치지 않는다. 의심환자 격리나 자가격리 등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호텔·모텔 같은 숙박시설이나 청소년수련관 등의 민간 부지를 마련하는 것도 낙인효과에 따른 거부감으로 쉽지 않다. 확진자 동선 공개에 따른 부작용으로 민간 업장이나 의료기관 등이 연쇄적으로 피해를 본 것도 이러한 시설 낙인효과에 따른 것이다.

감염병 낙인효과의 문제는 감염병의 특성에 기인한다. 감염의 확산 루트가 인간을 매개로 하는 연결망이기에 개인의 사회적 관계에 따라 전파경로가 나타난다.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이 특 정 개인이나 그 와 연관된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비난으로 번지는 경우를 우리 사회에서도 여러 차례 볼 수 있었다. 중세의 마녀 사냥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더라도 코로나19 관련 특정 종교 및 동성애자 등에 대한 낙인 찍기가 여전히 일어난다.

낙인은 결국 사회적 차별을 낳게 된다. 세계보건기구(W H O)가 감염병 퇴치 지침으로 일관되게 ‘차별금지’를 역설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감염됐다고 부당한 차별을 받는다면, 감염병검사와치료받는 것을 막는 것이나 다름없다. 사회적 차별은 사람들을 더욱 숨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의 건강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백신과 효과적인 치료제가 공중(公衆)에 보급되기 전까지, 코로나19에 대한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코로나19 초기 확산때와 달리 현재는 바이러스의 전파 양상 및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정보가 대단히 늘 어났다.

더 나빠진 부분은 코로나 낙인효과와 이에 따른 검사 회피 경향이다. 개인과 특정 집단에게 확진 책임을 미루는 것은 위기소통(risk communication) 전략의 금기 중 하나이다. 정부 당 국이나 언론 등에서 이러한 금기를 범하지 않았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코로나 대응에 있어 조기 진단을 통한 확산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기에 코로나 낙인효과를 줄이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