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진 명이비인후과의원장

전문직으로서 의사가 갖추어야 할 3가지 요소는 전문적인 의학지식(knowledge), 전문 술기(technique), 그리고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이다. 여기서 전문직업성은 '의사다움'이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쉬울 것 같다. 의사가 지녀야 할 전문직업성의 구체적 덕목으로는 이타심(altruism), 책임감(accountability), 탁월성(excellence), 의무(duty), 봉사정신(service), 명예(honor), 청렴성(integrity), 타인에 대한 존중(respect for others) 등이다. 의사들이 전문직업성을 지켜내지 못 할 때 사회는 의사와 맺은 사회계약의 선을 넘어 타율로 전문직을 다스리려고 한다. 전문직이 스스로 자율정화(self-regulation 혹은 professional regulation)하는 기능을 상실하거나 부실하게 되면 사회는 전문직을 신뢰하지 못 하게 되고,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법과 규칙 등을 만들어 전문직을 다스리려고 한다.

전문직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 의료문제를 다루면서 발생한 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최근 문제가 된 서남의대 사건과 대형병원의 환자 싹쓸이 행위이다. 서남의대 사건은 모두가 잘 알다시피 정치권의 개입이 가장 큰 문제였다. 그러기에 의과대학 설립목적에 전문직으로 의사들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은 전혀 고려의 대상도 아니었다. 전문지식의 습득도 안 되었고, 전문 술기의 습득도 어려운 교육 상황이었다. 게다가 이런 상황에 전문직업성에 대한 교육은 아예 발붙일 곳이 없었다.

전문직업성을 가진 의사는 산술적 계산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는다. 의사들은 필요에 따라 생산을 조절하는 양계장의 닭이 아니다. 삶과 죽음, 고통의 문제에 대한 깊은 성찰과 그 속에서 피어나는 소명의식이 바탕이 된 전문직업성이 배어있어야 만이 좋은 의사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최근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념이 전무한 일부 정책가들이 의사 숫자에만 매달려 의과대학을 더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의사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단지 싼 값에 의료를 제공하는 단순 의료기술자만을 원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의과대학은 사회가 바라는 좋은 의사를 교육하고 배출하는 곳이지, 의료 공급자를 생산하는 곳이 아니다. 그 피해는 지금 서남의대 사건처럼 고스란히 사회에 지워지게 된다. 의료를 단지 이용하기 편하고 접근성이 좋은 편의시설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는 정책입안가들이 깊이 반성하고 깨달아야 할 부분이다.

또한 대형병원이 환자들을 싹쓸이하는 행위 등은 병원을 운영하는 목적이 영리추구에만 있었다는 것으로 생각 할 수밖에 없다. 전문직업성의 덕목인 이타심, 책임감, 탁월성, 의무, 봉사정신, 명예, 청렴성, 타인에 대한 존중 등을 찾아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교수들도 자신들이 지켜나가야 할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념 부재로 단지 소속 의료재단의 눈치를 살피며 수익 높여주기 경쟁에 몰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총체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교육부, 보건복지부)와 국회, 의료계가 함께 문제를 해결해 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전문직 단체를 대표하는 대한의사협회가 의학교육평가원, 의학교육학회, 의과대학학장협의회, 의료윤리학회, 의료윤리연구회 등 관련단체들과 전문직업성 강화를 위한 협의체를 만들어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되는 모습을 보여 주어야만 한다. 그런 모습을 보여줄 때 사회는 의사들을 신뢰해 주고 타율의 간섭을 줄여 갈 것이다.

지금이라도 이러한 중요한 작업을 시작하지 않는다면 외부의 간섭을 더욱 심해질 것이고, 의사들의 앞날은 매우 어두워 질 것이다. 의사들을 존경과 선망의 대상이 아닌 돈만을 벌기 위해 의사라는 직업을 택한 단순 기술자로 취급할 것이다. 의사 지도부가 머뭇거리기에는 너무나 시간이 없다. 대한민국 의사들은 끝없는 벼랑 끝에서 전문직업성의 위기를 맞고 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