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탈탄소 경쟁력 강화 협력 본격화
전과정 탄소관리 관리체계 구축-국제 탈탄소 규범 공동 대응
[의학신문·일간보사=이정윤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11월 26일 자동차회관(서울시 서초구 소재)에서 국내 자동차 업계와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역량 강화 및 탄소중립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LCA는 자동차 제작단계(원료 채취 및 부품제조, 완성차 생산포함)부터 운행,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여 평가·관리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번 협약에는 현대자동차 등 주요 자동차 제작사(5개) 및 부품사(16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참여한다.
이 협약은 세계 자동차 산업의 탈탄소 흐름 속에서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자동차 전과정평가 제도 도입이 추진됨에 따라, 자동차 업계의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역량을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공급망 내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탄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유엔 산하 ‘국제 자동차 규제조화포럼(WP.29)’에서는 자동차 전과정평가 전문가작업반을 구성하고 내년 초 국제사회의 채택을 목표로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유럽연합(EU)은 2026년 6월부터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 배출량을 자발적으로 보고하는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역시 이러한 국제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2023년 6월부터 자동차 전과정평가 토론회(포럼)를 개최하며 국제 동향을 공유하는 등 소통 창구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왔다.
올해부터는 국내 중소 부품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전과정 온실가스 평가 및 컨설팅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방법 마련 및 국제 조화 추진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데이터 관리·추적 체계 구축 △중소 부품사 지원사업 활성화 및 교육 확대 △공정별 다배출 분야 분석 및 감축 진단(컨설팅) 지원 △국외 인증 및 국제 규제 대응 지원 등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내 부품사의 국제 탈탄소 규범 대응을 적극 지원하고, 자동차 제작사 및 부품업계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과정 탄소관리 체계의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탈탄소 실무 담당자 교육 및 진단(컨설팅) 등을 통해 탄소 감축 기술 도입 및 공정 혁신을 지원하여 자동차 산업의 탈탄소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금한승 기후에너지환경부 차관은 “최근 국제 자동차 산업의 경쟁 기조가 탄소 효율성 중심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산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도적·기술적 기반을 빈틈없이 구축하여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제도가 원활하게 시행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