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광명병원, 국내 최초 ‘방사선 제로 펄스장 절제술’ 200례 달성
초고령 환자 포함 70세 이상 20% 차지…심방세동 고위험군 치료 새 전기 임홍의 교수 “맞춤형 시술로 재발률 낮춰…환자 회복·경제적 부담 완화”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중앙대광명병원이 국내 최초로 방사선 제로 펄스장 절제술 200례를 달성하며 심방세동 고위험군 치료의 새 전기를 마련했다.
중앙대학교광명병원(원장 정용훈) 부정맥센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방사선 제로(0) 펄스장 절제술)’ 200례를 달성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방사선 제로 펄스장 절제술을 성공시킨 이후 불과 10개월 만에 이룬 성과다.
특히 시술 환자 가운데 83세 초고령 환자를 포함해 70세 이상이 20% 이상을 차지해, 고위험군 고령 심방세동 환자에서도 안전하게 시행 가능한 치료법임을 입증했다.
또한 기존 심방세동 시술 후 재발돼 펄스장 절제술로 재시술한 환자가 10%에 달해, 재발성 심방세동 환자에게도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고령사회 진입…‘심방세동’ 환자 급증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고령층에서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대표적 부정맥 질환인 심방세동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치료에 있어, 약물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이고 장기간 항부정맥제 복용 시 부작용 위험이 높아 시술적 치료가 근본적 해결책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심방세동은 재발률이 높아 반복적 재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환자의 심방 크기나 기저 심질환 상태에 따라 시술 난이도가 크게 달라지는 만큼, 환자별 맞춤형 치료 전략과 숙련된 시술자의 전문성이 필수적인 상황.
심장 초음파만으로 시술…‘방사선 제로’ 시대 열어
이에 중앙대광명병원 최신 치료법인 방사선 제로 펄스장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 치료법은 심장 내 초음파(ICE)만을 활용해 방사선 투시영상(엑스레이)이나 조영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시술법이다.
순환기내과 임홍의 교수는 현재까지 5500례 이상의 부정맥 시술 경험을 보유한 국내 최고 권위자로,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펄스장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임 교수는 기존 부정맥 시술이 방사선 투시를 통해 진행되는 것과 달리, 방사선 피폭 및 조영제 부작용을 완전히 차단해, 신기능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고 시술 시간은 1시간 이내로 단축했다. 전신마취가 필요 없고, 수면진정 상태에서 진행돼 고령 환자도 부담이 적다.
임홍의 교수는 “심방세동을 포함한 모든 부정맥 질환을 시술을 통해 치료할 시에는 면밀하게 파악해야 할 사항들이 많고 풍부한 시술 경험이 매우 필요하다”며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른 맞춤형 시술을 시행해야 다시 재발되는 확률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반복적인 재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부정맥으로 고통받는 환자분들이 최적의 시술 방법을 통해 건강한 삶을 되찾는 모습을 볼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