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헬기 출동 10건 중 3건 가까이 거절

5년간 평균 기각률 약 27.5%…그 중 50% 이상이 기상 문제 안상훈 의원 “구조적으로 골든타임 확보 불가능… 응급이송체계 근본적 보완 시급”

2025-10-30     이재원 기자
안상훈 의원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운용되는 닥터헬기 요청이 있었으나 실제 출동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사례가 매년 약 30%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요청 후 기상 상황이나 운영 여건 등의 이유로 출동이 취소되는 비율로, 응급이송체계의 근본적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안상훈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닥터헬기 출동접수 건 대비 기각 및 중단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9월까지 닥터헬기 출동접수 건수는 총 8322건이며, 이 중 기각은 2278건(27.4%), 중단은 291건(3.5%)으로 집계됐다.

사유별로는, '기상 악화 등 환경 문제로 인한 기각'이 올해 기준 50%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른 임무 수행 중’, ‘업무시간 부족’ 등의 사유도 뒤를 이었다.

 닥터헬기 사업은 2011년 도입 이후 전국 8개 권역에서 운영되고 있으나, 최근 운용과 관련해 ▲이착륙장 부족 ▲야간·악천후 출동 제한 ▲지역 갈등 ▲지역 간 격차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안상훈 의원은 “응급환자의 생명은 몇 분 차이로 갈릴 수 있는데 닥터헬기 기각률이 30%에 육박한다는 건 사실상 응급이송체계가 가장 필요한 순간에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는 단순히 헬기를 늘리는 양적 확충에 그칠 것이 아니라, 야간 및 악천후 시 대안적 출동체계 보완, 헬기장 인프라 확충 등 실질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