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커넥트, 美 타임지 ‘2025 톱 헬스테크 기업’ 선정
CG인바이츠 자회사 AI 헬스케어·디지털 인프라 구축 핵심역량 입증
[의학신문·일간보사=김정일 기자] 인바이츠 생태계 구성기업이자 차세대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헬스커넥트(대표 신용규)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과 글로벌 리서치 기관 스테티스타(Statista)가 공동 발표한 ‘2025 최고의 헬스테크 기업(Top HealthTech Companies 2025)’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AI, 데이터 분석, 원격의료, 진단, 웨어러블 등 디지털 헬스케어 전 영역을 대상으로 세계 35개국 495개 기업을 선정한 것으로, CG인바이츠 자회사인 헬스커넥트는 ‘AI & 데이터 분석(AI & Data Analytics)’ 부문에서 이름을 올리며 대한민국 대표 기술 기반 헬스 플랫폼 기업으로 위상을 공고히 했다.
헬스커넥트는 2011년 서울대학교병원과 SK텔레콤의 조인트벤처로 설립돼 2019년 인바이츠 생태계에 편입된 후 현재는 지분구조상 CG인바이츠 자회사에 위치하고 있다. 그간 국내 최고 수준의 의료기술과 ICT 역량을 결합해 △국내외 19개 스마트병원 구축 △세종·울산·부산 등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부문 최다 실적 △개인맞춤형 건강·질환관리 솔루션 설계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왔다.
이러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헬스커넥트는 인바이츠 생태계 내 AI헬스케어와 디지털 인프라 사업을 담당하는 핵심 플랫폼 허브 역할을 수행 중이다.
인바이츠 생태계는 데이터 기반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질환관리 및 AI질환예측 구현을 목표로, 구성기업들의 핵심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AI헬스케어 및 디지털 인프라 △유전체 기반 신약개발 두 축으로 주요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CG인바이츠와 인바이츠지노믹스는 국내 최초·최대 규모 민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5만여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확보, 이를 의료 및 생활습관 데이터와 결합해 방대한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구축했다. 또한 이를 토대로 35개 만성질환에 대한 고(高)정확도 질환 예측 알고리즘 iRS(Integrated Risk Score)를 개발해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으로 상용화하고 있다.
헬스커넥트는 이렇게 구축된 방대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AI·디지털 인프라로 연결시키는 실행 허브로 기능하며, 개인 맞춤형 AI·디지털 헬스케어 구현에 있어 핵심 데이터와 서비스를 실어나르는 ‘맞춤형 메신저’의 역할을 하고 있다.
회사 측은 헬스커넥트의 이번 타임지 선정은 인바이츠 생태계가 보유한 AI 헬스케어 기술력과 실제 상용화 실행력을 동시에 인정받은 성과로,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