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동탄성심 서영진 교수, 전방십자인대 6가닥 힘줄 이식술 효과 입증
손상 여부 등 특성 유사 환자 29건 2년 이상 추적 관찰 기존 수술법 比 6가닥 힘줄 이식 그룹에서 힘줄 1.7mm 두껍게 유지 무릎 기능 점수·무릎 전방 이완 폭 우수성 확인
[의학신문·일간보사=최진욱 기자] 국내 의료진으로부터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최소 침습을 적용한 6가닥 힘줄 이식술이 기존 표준 치료법보다 무릎의 기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정형외과 서영진 교수<사진>는 관절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 방식으로 6가닥을 힘줄 이식하는 수술법과 전통적인 4가닥 힘줄 이식법의 효과 비교 연구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국내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는 연간 4만 명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완전 파열 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전방십자인대 파열에서의 표준 치료는 경골과 대퇴골에 터널을 뚫은 뒤 허벅지 뒤쪽의 햄스트링 힘줄 4가닥을 이식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아시아인의 경우 햄스트링 힘줄의 직경이 짧은 경우가 많아 이식된 힘줄이 가늘어지며 무릎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서 교수는 2020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4가닥 힘줄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73명과 2022년 9월부터 2024년 2월까지 기존 수술법에 2가닥을 더해 6가닥 힘줄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평균 2년 이상 추적 관찰을 진행했다.
연구 대상자는 성별·연령·체질량지수·반월상연골 손상 여부 등 특성이 유사한 환자들을 짝지어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선택 편향을 최소화했고, 최종 29건의 비교 대상을 선정했다.
그 결과, 6가닥 힘줄 이식 그룹(9.5mm)은 4가닥 힘줄 이식 그룹(7.8mm)보다 수술 후 이식된 힘줄이 더 두껍게 유지되고, 무릎의 기능과 안정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 기능 점수에서도 뚜렷한 차이가 확인됐다. 무릎 기능을 평가하는 Lysholm 점수(무릎 기능 지수, 0~100점, 높을수록 우수)는 6가닥 힘줄 이식 그룹이 82.2점, 4가닥 힘줄 이식 그룹은 75.6점이 나왔으며, WOMAC 지수(무릎 기능장애 평가지수, 0~96점, 높을수록 기능장애가 심함)는 각각 8점 대와 12.9점으로 6가닥 힘줄 이식 그룹이 더 우수했다.
무릎 불안정성 비교에서는 6가닥 힘줄 이식 그룹은 수술 후 무릎이 전방으로 이완되는 폭이 1.6mm로, 4가닥 힘줄 이식 그룹 2.5mm에 비해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며, 이식된 힘줄의 직경이 클수록 무릎의 전방 이완이 감소하는 연관성도 확인됐다.
서영진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최소 침습 방식의 6가닥 힘줄 이식법이 기존 수술법보다 더 두꺼운 힘줄을 유지해 수술 후 무릎의 기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국내 최초로 비교·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상당수의 아시아인 환자가 기존의 4가닥 햄스트링 이식법으로 이식된 힘줄의 충분한 직경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기존 방식으로 한계를 겪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수술법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약 90%는 접촉사고가 아닌 갑작스러운 정지, 무릎의 뒤틀림, 잘못된 착지 등의 동작에서 발생하고, 손상 직후 무릎에는 심한 통증과 부종, 불안정성을 느낀다”며 “전방십자인대가 완전 파열될 경우 자연 치유는 어렵고 2차적인 손상도 생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의심되면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에서 최소 침습 6가닥 햄스트링 자가 이식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SCIE급 국제 저널인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2.9] 8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