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진짜 투석 선진국 아니다”…환자 중심 지원체계 시급

한국, 일본·대만과 비교하면 환자 지원 격차 커 양철우 내과원장 “국가가 치료 지속성과 삶의 질 보장해야”

2025-09-22     정광성 기자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대학병원을 떠나 일선 현장으로 자리를 옮긴 양철우 내과원장은 한국의 투석 치료가 ‘강국’의 외형을 갖췄을지 몰라도, 환자 지원과 인프라 측면에선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진단했다.

양철우내과의원 양철우 원장<사진>은 최근 의학신문·일간보사와 만난 자리에서 “한국은 투석 강국이 아니다. 일본, 대만과 비교하면 환자 지원과 인프라가 크게 부족하다”라며 “복지·수가·교육 체계 전반의 손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 원장이 운영하는 클리닉에는 개원 1년 동안 신환 3500명이 다녀갔다. 이 중 실제 콩팥 기능 저하로 내원한 환자만 약 1000명, 이식 환자 115명이 꾸준히 추적 관찰 중이다.

그는 “투석을 시작해도 각자 삶을 유지하도록 돕는 게 중요하다”라며 “직업이 있으면 계속 일을 이어갈 것을 권한다. 투석이라는 것은 ‘불편’이지 ‘끝’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대한신장학회에 2024년 발표 자료에 따르면 국내 투석 환자는 13만명을 넘어섰으며 매년 5% 이상 증가하고 있다. 혈액투석(90%)과 복막투석(10%) 정도의 비율을 차지한다. 

양철우 원장은 복막투석과 혈액투석 두 방법을 각자 장단이 있는 만큼, 환자별 맞춤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양 원장에 따르면 복막투석은 집에서 시행 가능해 자유도·연속성이 장점으로, 다만 효율이 낮고, 복막염·복막 경화 등 장기적 한계가 있다. 혈액투석의 경우 주 2~3회의 병원 방문이 필요하지만 의료진의 즉각적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는 “복막이든 혈액이든, 이식 사이의 ‘브리지’로 적절히 활용하면 된다”라며 “나이·가족 지원·직업·거주 환경까지 모두 고려해 환자와 함께 고르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아울러 양철우 원장은 투석 치료 시 치료비용·이동 문제·생업 유지 등 현실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환자의 치료 연속성을 국가가 보장해야 한다고 짚었다.

양 원장은 “투석 환자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상당한데도 정부 지원은 한정적”이라며 “치료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의료진이 아무리 헌신해도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한계가 있다”며 “정부가 환자들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고, 직장 생활을 이어갈 수 있는 근무 환경을 보장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양철우 원장에 따르면 주변국인 일본·대만 등과 투석 치료 지원에 대한 인프라 차이가 큰 상황으로, 일본은 전국적 네트워크·고액의료비 제도 등으로 본인부담 최소화, 24시간 대응 체계까지 갖춘 곳도 있으며, 대만도 투석 치료비 대부분을 국가가 부담, 복막투석 확대 정책으로 환자 선택권을 넓히고 있는 상황.

양 원장은 “일본·대만과 달리 한국은 치료비 본인부담과 생활 지원이 제한적이고, 환자 교육·의사결정 지원도 충분치 않다”며 “환자들이 어떤 치료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크게 달라지는데도 충분한 정보 제공이 이뤄지지 않는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투석은 생존의 출발선일 뿐, 삶의 종착지가 아닙니다. 국가와 의료가 환자의 생활을 붙들어 주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라며 “의사는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는 자신에게 맞는 길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