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 심장뇌혈관병원, “통합진료의 새 지평 열다”

심장뇌혈관병원 개원 10주년…중증‧응급질환 자리매김 이상철 병원장 “진료와 연구를 혁신해 세계 최고 병원으로”

2024-12-17     유은제 기자

[의학신문·일간보사=유은제 기자]삼성서울병원은 2014년 3월 12일, 국내 최초로 심장과 뇌졸중, 혈관질환을 통합적으로 치료하는 ‘심장뇌혈관병원’을 설립했다. 지난 10년간 환자 중심의 통합 진료 모델을 정립하고, 첨단 의료 기술을 도입해 한국 의료의 새로운 장을 열어왔다.

이상철 심장뇌혈관병원장

심장뇌혈관병원은 1994년 삼성서울병원 개원과 함께 시작된 심장혈관센터에서 시작했다. 2003년에는 국내 최초로 뇌졸중센터를 개소하였으며, 2009년에는 메이요 클리닉과 협업하여 심장혈관 이미징센터를 만들어 첨단 영상 진단 기술을 국내에 들여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국내 최초로 2014년 심장뇌혈관병원이 공식 출범해 지금까지 심장·뇌·혈관 질환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은 10년 동안 인공심장 및 심장이식 분야에서 괄목할 성과를 거뒀다.

2015년 국내 최초로 3세대 LVAD(좌심실 보조장치) 인공심장이식수술에 성공한 뒤 이를 바탕으로 2016년에는 국내 최초로 인공심장클리닉을 개설했다. 2019년에는 국내 최초로 흉골 무절개 인공심장 이식에 성공하여 인공심장 분야에서 최소습 숫수술의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

2020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메드트로닉사의 3세대 인공심장 우수 센터로 지정됐고, 같은 해 국내 최초로 3세대 인공심장 최신 모델인 하트메이트(애보트社) 수술에 성공했다. 심장이식 분야에서도 2016년 200례, 2022년 400례를 기념하며 중증 심부전 환자 치료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고 평가받고 있다.

심장뇌혈관병원 개원 이후 심장 전문 의료진들이 365일 24시간 응급 전원을 진행하는 ‘심장혈관 핫라인’도 운영했다. 타 병원에서 의뢰한 복잡한 관상동맥중재술(PCI) 시술이 필요한 환자를 꾸준히 치료하면서 국내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가장 많이 하는 병원으로 자리매김했다.

부정맥 분야에서도 실력을 입증했다. 삼성서울병원은 2018년 세계 3번째로 하이브리드 부정맥 치료 300례를 기록했다. 2020년에는 국내 최초로 심장재동기화치료 300례를 했고, 아시아 최초로 ‘심실부정맥시술 교육센터’로 지정됐다.

폐고혈압 및 폐혈관질환 치료 분야도 선도했다. 2015년 국내 최초로 만성혈전성 폐고혈압 혈관풍선 확장술 치료에 성공했으며, 2019년에는 폐고혈압중재술 200례에 도달했다. 2022년에는 국내 최다 만성폐색전증성 폐고혈압 하이브리드 치료를 시행하여 폐혈관내막절제 수술 100례, 경피적 폐동맥혈관성형술 300례를 이뤘다.

뇌혈관질환 치료 분야에서도 혁신을 이어갔다. 2003년 국내 최초 뇌졸중센터를 개소한 이래로 적극적인 뇌혈관 질환 환자 진단 및 치료에 앞장서고 있으며, 2023년에는 자체 개발한 AI를 활용하여 차세대 급성 중증 뇌경색 치료를 선도하고 있다. 2024년에는 최신 뇌동맥류 스텐트 장비인 '서패스 엘리트 플로우 다이버터(Surpass Elite Flow Diverter)'를 세계 최초로 시술에 성공한 바 있다.

심장뇌혈관병원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등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를 통해 연구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심장뇌혈관병원에서 발표한 논문의 평균 영향력 지수(IF)도 2016년 3.5에서 2024년 10월 기준 7.6으로 크게 상승했다.

또 뉴스위크가 선정해 발표한 심장 분야에서 글로벌 64위를 기록했으며 최근 3년간 글로벌 순위가 33단계 상승했다.

이상철 심장뇌혈관병원장은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이 불과 10년 만에 중증, 응급 질환 중심의 병원으로 자리매김하였음에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진료와 연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병원이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