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저시력자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와치캡' 개발
김승준 교수팀, 저시력자의 시야 결손 보전 모자 모양 장치 제안
[의학신문·일간보사=차원준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융합기술학제학부 김승준 교수 연구팀이 저시력자의 시각 탐색을 보조하기 위한 모자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 '와치캡(WatchCap)'을 개발했다.
이 장치는 저시력자가 시야 결손으로 인해 겪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저시력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와치캡'은 저시력자의 시선 인지 단계를 분류하고, 시각 탐색 과정에서 사용자의 고갯짓을 촉진하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이 연구 성과는 10월 5일부터 9일까지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되는 UbiComp 2024(The ACM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Pervasive & Ubiquitous Computing)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기존 저시력자 보조 도구는 증강현실 정보를 제공하거나 광학 장치를 통해 시야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안경과의 호환성 문제나 공간지각 방해 등의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와치캡'은 사용자의 능동적인 시야 확보를 촉진하기 위해 시각 탐색과 시각 주사 단계를 통해 진동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옷걸이 반사(Hanger Reflex)' 현상을 유도한다. 이는 저시력자가 무의식적으로 더 넓은 공간을 탐색하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와치캡'의 효과를 녹내장, 망막변성, 포도막염 등으로 인해 주변 시야 결손을 겪는 저시력자들에게 시험했다. 결과적으로, 이 장치는 저시력자가 명시적인 개입 없이도 시야를 확장할 수 있도록 촉진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불편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김승준 교수는 "이 장치는 인공지능을 통해 시각 단계를 분류하고, 물리적 자극을 통해 저시력자의 시각 탐색을 촉진하는 혁신적인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와치캡'은 증강현실 보조 도구나 안경과도 호환 가능하며, 녹내장, 망막색소변성증 등을 겪는 저시력자의 일상 활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이번 연구는 GIST-MIT 공동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김승준 교수와 조태우(2024년 2월 GIST 석사 졸업), 여도현, 김광빈, 황석현 연구원이 참여했다.
김승준 교수는 현재 GIST AI대학원과 AI정책전략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하며, 인간중심 지능화를 위한 인공지능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