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약 122억 달러…전년比 12.3% 증가

진흥원,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바이오의약품‧화장품 등이 수출견인

2024-08-01     정광성 기자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올해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이 121억9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1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의약품과 화장품이 역대 반기 최대실적을 달성하며 수출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이 1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실적’에서 이 같은 내용이 확인됐다.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대비 12.3% 증가한 121.9억 달러를 기록했다.

자료: 보건산업진흥원

분야별로 살펴보면 화장품 48.1억 달러(+18.1%), 의약품 44.6억 달러(+16.2%), 의료기기 29.2억 달러(-0.8%)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았다.

진흥원은 “주요 특징을 보면,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용 제품류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수출이 확대돼 의약품과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며 “하지만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로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의약품의 경우 바이오의약품과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44.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특히 전체 의약품 수출의 약 60.0%를 차지한 바이오의약품이 미국(6억9000만 달러)과 헝가리(4억1000만 달러), 스위스(2억6000만 달러)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2% 증가한 26만8000만 달러로 역대 반기 최고실적을 기록했다.

또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수출은 미국(4000만 달러)과 중국(0.3억 달러)을 중심으로 증가해 총 1억7000만 달러 수출을 기록, 전년 동기대비 17.2% 상승했다.

의약품과 더불어 수출을 견인한 화장품의 경우 ‘기초화장용·색조화장용·인체세정용 제품류’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전년 같은 기간 보다 18.1% 증가한 48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7% 차지한 ‘기초화장용 제품류’(35억9000만 달러)의 수출은 중국(9억1000만 달러)과 러시아(1억5000만 달러)에서 감소했지만, 미국(6억3000만 달러)과 일본(2억8000만 달러), 베트남(2억1000만 달러)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색조화장용 제품류’는 중국(1억7000만 달러), 미국(1억2000만 달러), 베트남(3000만 달러, )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24.0% 증가한 6억4000만 달러로 역대 반기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아울러 의료기기는  ‘임플란트’ 및 ‘전기식 의료기기’ 등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0.8% 떨어진 29억2000만 달러를 수출하는데 그쳤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임플란트’(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약 16.6% 차지)는 중국(1억9000만 달러) 수출의 증가세 지속과 함께 미국(4000만 달러)과 네덜란드(4억 달러)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8% 증가한 4억8000만 달러로 역대 반기 최고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체외 진단기기’의 경우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해 2022년 상반기 26억1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상반기 4억7800만 달러, 올해는 전년대비 8.1%감소한 3억44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특히 올해는 미국에서 80.4%가 감소한 영향이 컷다는 진흥원의 분석이다.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과 의약품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보건산업 수출 증가를 주도했다”며 “하반기에도 바이오의약품‧임플란트‧ 기초화장품 제품류 등 보건산업 주력 품목의 수요지속으로 수출의 증가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