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 병원 ‘전공의에 15일까지 복귀 여부 답 달라’ 최후통첩
미복귀‧무응답 시 사직 처리…설명회‧면담도 일부 진행 정부 사직서 수리기간 연장 제안 ‘거절’…설득시간 부족 우려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빅5 병원을 비롯한 대형 수련병원들이 전공의들에게 오는 15일까지 병원 복귀 여부를 답해달라는 문자를 보내며 사직 의사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미복귀‧무응답 시 복귀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해, 사직 처리가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서울삼성병원 등 빅5 병원과 가톨릭중앙의료원‧고대의료원 산하 병원 등 대형수련병원들은 전공의들에게 병원 복귀 여부를 묻는 문자를 발송했다.
이는 앞서 복지부가 전국의 수련병원에 공문을 보내 "15일까지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사직처리를 완료하고, 결원을 확정할 것"을 요구하고, "전공의 결원 확정 시기도 7월 15일에서 더 이상 연기해주지 못하겠다"고 밝힌데 따른 조치로 보인다.
먼저 서울대병원은 ‘복귀·사직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드린다’는 문자‧메일에서 “15일 정오까지 복귀하거나, 사직 의사를 진료과 또는 교육수련팀으로 알려주시길 바란다”며 “기한 내 미복귀하거나 응답이 없으신 경우에는 복귀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알겠습니다”라고 적었다.
또한 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세브란스병원‧가톨릭중앙의료원 등도 전공의들에게 비슷한 내용을 담은 메시지를 보냈으며, 기한 내 미복귀하거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복귀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내용 역시 담겼다. 이는 미복귀‧무응답 시 사직 처리를 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일부 병원은 설명회와 면담을 진행하기도 했다. 서울대병원은 지난 11일 오전‧오후 2회 진행된 설명회에 이어 12일도 동일한 자리를 마련해 사직 의사를 확인할 예정이며, 고대의료원은 지난 11일 전공의 대상 간담회를 통해 현 상황과 병원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타 수련병원들도 과별 면담을 추가로 진행해,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를 파악할 예정이다.
문제는 전공의 복귀 설득을 위한 시간이 부족한 것은 물론, 사직서 수리 시점에 대해서도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
정부가 9월 하반기 모집 응시자에 대한 수련 특례를 제시하며, 사직서 수리 시점을 수련병원협의회에 일임했지만, 특례 없이 다음 해 3월 수련복귀가 가능한 ‘2월 29일’을 적용 기준일로 협의회에서 합의‧제안했으나, 정부는 이에 선을 그으며 ‘6월 4일을 기점으로 공법적 효력이 있다’고 못 박은 바 있다.
이에 의대교수들은 사직전공의에 대한 차별적‧선택적 수련특례 적용이자 전공의를 위협‧탄압하는 수단이라고 반발하고 있는 상황.
이와 더불어 의대협 내부 설문조사 결과 의사국시 예정자의 95%가 응시를 거부한 것을 비롯해 대전협 박단 비대위원장도 현장 미복귀 의사를 밝히는 등 설득이 중요한 상황에서 수련병원협의 사직서 수리 기한의 연장도 받아들여지지 않아 이를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 같은 상황을 볼 때 15일 전후 의료현장의 대혼란이 예상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어, 정부 대처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