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헬스케어 돌봄의료 활용 정부·기업 모두 노력해야”

정부가 EMR 표준화 · 제도 명확화하면 기업은 의사·환자 UI 강화해야 김도연 플라잉닥터 대표, 한-아세아 보건복지 세미나에서 강조

2024-06-27     이승덕 기자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모바일 헬스케어가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돌봄의료에서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지만, 본격적인 보조역할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됐다.

 

플라잉닥터 김도연 대표(바른신경외과 원장)<사진>는 지난 26일 보건복지부·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가 공동개최한 ‘한-아세안 보건복지 협력증진 세미나’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김도연 대표는 “모바일 헬스케어는 어느 국가에나 있는 의료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해 주는 보충적 역할을 하고 있고, 돌봄의료의 지속성을 담보할 안전판으로써 역할을 한다”며 “가장 중요한 점은 의사·간호사 등 사람이 할 수 밖에 없는 의료서비스 인력의 효율적 배분을 통한 사회적 비용을 낮추는데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모바일 헬스케어가 궁극적으로 의사와 의료진을 만나게 되는 기회가 박탈되는 사람들의 의료접근성 차이를 줄여주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그러나 모바일 헬스케어의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며 “돌봄의료 대상자들의 지속적 모니터링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 소지가 있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고, 고령 환자나 장애인 등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낮은 사람들에게 편리하게 사용할 유저 인터페이스의 설계도 필요하다”고 현 주소를 짚었다.

이와 관련, 김도연 대표는 모바일 헬스케어가 자리잡기 위한 과제들을 꼽았다.

그는 우선 “정부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 돌봄의료는 환자가 병원에 가는 전통적인 의료가 아닌 일종의 새로운 형태의 의료로 아직까지 명확한 법률이나 체계가 없다”며 “이러한 법률체계를 명확히 하고, 돌봄의료 종사자들 역시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수 있어 교육을 정부가 많이 담당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우리나라 병원에서 활용하는 EMR(전자의무기록)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표준화·규격화 돼 있지 않고 단순히 인증만 받고 있어 이러한 보건의료데이터를 임상에서 활용하기 굉장히 어려워 정부 차원의 규격화가 필요하다”며 “의료의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우리나라에서 참여를 위한 정부 재정 지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업에 대해서는 “역할이 사실 간단하다. 정부 역할을 바탕으로 돌봄의료의 대상이 되는 장애가 있거나 고령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할 때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확실하게 친화적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돌봄의료-모바일 헬스케어와 연결된 원격의료에서도 의사에게 친화적이지 못해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접근성 강화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의료진 접근성과 관련해서는 플라잉닥터에서 활용하는 원격진료 플랫폼을 사례로 들었다.

환자가 온라인으로 등록해 ‘가상 진료실’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 의사가 각종 의료정보를 미리 확인해 오프라인 진료와 동일하게 원격진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화적 서비스로 많은 의사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것.

김도연 대표는 “돌봄의료는 새로운 형태의 의료이기 때문에 의료사고나 부작용 등 명확한 법적 규정이 없어 이를 정비해야 하고,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도록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규제샌드박스나 여러 제도를 통해 기업들이 이 시장(모바일헬스케어, 원격진료)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현재 AI·IoT 기술이 많이 발달하고 있고,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발맞춰 여러 하드웨어 디바이스들도 발전하고 있어 모바일 헬스케어의 발전은 피할 수 없는 과제”라며 “모바일 헬스케어가 돌봄의료의 주축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여러 도전 과제들을 기업과 정부가 합심해 해결해 나가야할 것”이라고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