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감 심하다면 내년부터 109로 전화하세요”
자살예방 상담번호 2024년부터 ‘109’ 통합…청소년 위한 채팅상담도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정부가 자살예방을 위한 상담전화번호를 ‘109’로 통일하는 한편, 청소년을 위한 채팅상담도 도입한다.
보건복지부·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1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 주요 자살예방정책을 소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올해 4월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 발표 이후, 이달 5일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을 발표했는데 △2027년까지 100만명 심리상담서비스 지원 △10년 내 자살률 50% 감축을 주요 목표로 정신건강정책 혁신 방향을 발표했다.
특히 이날 간담회에서는 자살예방상담(1393), 정신건강상담(1577-0199), 청소년상담(1388) 등 다른 상담 번호가 내년부터 모두 109로 통합된다는 점을 소개하는데 주력했다.
전화번호 ‘109’는 ′119′와 같이 자살이 ‘구조가 필요한 긴급한 상황’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고, ‘한 명의 생명도(1), 자살 zero(0), 구하자(9)’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전화번호 통합에 따라 상담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 상담원은 기존 80명에서 내년 100명으로 늘린다.
또한 재단에서 전화상담 자원봉사센터를 한시적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아울러 전화 통화보다는 짧은 글로 하는 소통을 선호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SNS 상담’도 도입한다.
자살 장면이 담긴 영상이나 동반 자살 모집 글 같은 자살 유발 정보는 모니터링센터를 설치해 24시간 내 신고·구조·수사 의뢰하는 체계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일반인보다 자살 위험이 20∼30배 큰 것으로 알려진 자살 시도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 경찰·소방이 자살시도자 정보를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결해 상담·치료 등 사후 관리를 받게 한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들의 유족에게도 법률·행정 처리, 심리상담 지원 등을 제공한다(자살유족 원스톱 지원사업).
내년 7월부터는 학교, 직장 등 약 9만개 기관 1600만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이해 및 도움요청·지원방법 등을 담은 자살예방교육을 실시한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자살 사건 보도시 상담사건 안내를 변경된 109번으로 해줄 것을 협조요청하는 한편, 자살보도권고기준 개정 추진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복지부 이두리 자살예방정책과장은 “미디어 속 자살 유발 정보와 자살보도 확산은 청소년 등 자살 자극에 취약한 이들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며 “미디어 환경 변화와 자살 사건 표현에 대한 언론계 고민을 반영한 자살보도 기준 개정을 한국기자협회 등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