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협, 10만 서명 온라인 운동에 실체불명단체 ‘주의’ 문자 발송 대응
한국간호발전총연합 주도로 알려져…간호사들 웹상에서 ‘갑론을박’

간호협회 임원선거 직선제 서명운동이 현재 온라인상에서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간호계 관계자들의 주장과 반응이 엇갈려 당분간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27일 ‘대한간호협회 임원선거 직선제 촉구를 위한 10만명 서명운동’이라는 제목의 구글 설문지가 웹상에 공개됐다.

당시 서명운동 설문지에는 ‘직선제 추진 협의회’라고 명시됐을 뿐 주도하는 단체명과 구성원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간호협회는 29일 전 회원에게 긴급 공지 문자를 발송, “실체불명의 단체가 개인정보를 요구하며 간협 임원선거 직선제 촉구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으니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회원들의 피해가 없도록 참여를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대응에 나섰다.

논란이 가속될 조짐을 보이자 한국간호발전총연합(이하 한간총)은 지난 5일 서명운동을 주도했다고 밝히며 1차, 2차, 3차 발기인 명단을 공개해 맞대응 했다.

한간총은 총 502명의 발기인이 모여 활동을 시작한 단체로 정식 발족은 오는 14일이다.

한간총은 “간호사 회원 개개인의 목소리를 중앙회에 전달하기 위해 단체를 구성했다”며 “첫 활동으로 18만 간호사의 중앙회인 간협의 임원선거가 공정한 절차에 의해 일반회원 다수가 참여할 수 있도록 변화돼야 한다”며 직선제 추진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한간총은 “참고로 중앙선관위 선거2과에 의하면 간협 등록회원 18만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선관위 홈페이지로 이용신청서를 접수하고 1인당 370원(부가세 별도)을 지급하면 된다고 했다”며 “총 예산 소요경비는 6천660만원으로 간협이 주장하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반면 간호협회는 다른 의료계 단체들이 직선제 도입 후 겪고 있는 단점을 예로 들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간협 관계자는 “직선제를 통해 당선된 회장이 임원들을 선임하게 되면 대부분 반대쪽 입장에 있던 인재들을 쓰지 않아 결국 편이 갈려 내부 혼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며 “아울러 다른 의료계 단체 선거만 살펴봐도 50%가 안되는 낮은 투표율에 저조한 득표율로 회장이 당선되기도 하는데 이 때문에 대표성 문제로 항상 내홍을 겪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가장 큰 문제는 비용 문제인데 유권자가 4만4000명인 의사협회도 2015년 직선제 선거때 약 2억4천만원이 소요됐고 1만명이 안되는 한의협도 1억가량 지출됐다”며 “온라인 투표로 하면 문제가 해결 될 것 같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해킹 같은 온라인 투표의 변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온라인 시스템을 따로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이 부분에만 약 2억원 이상의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실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하는 온라인투표시스템 ‘K-VOTING(전자투표)’은 투표율을 높이기에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회원 등을 위해 신청자에 한해 우편투표도 병행된다.

또한 약사회의 경우 부정투표를 방지하기 위해 기표소 설치를 통한 직접 투표로 제한하자는 주장이 있기도 했으며 변호사협회 또한 기표소 현장투표로만 투표방법을 제한 중이다.

즉, 신상정보보호와 공정성 문제로 인해 선관위가 제공하는 온라인투표시스템을 다른 직역 단체들도 100%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간협의 설명이다.

앞서 간호협회 임원선거 직선제 건은 2015년 2월 대표자회의에서 논의됐지만 이 같은 한계들로 인해 그 도입이 시기상조라고 판단돼 대의원 총회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은 바 있다.

이와 관련 일선 간호사와 간호 대학생들은 블로그나 SNS 등을 통해 웹상에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 중이다.

한 간호 대학생은 “사실 병원 생활도 힘들기 때문에 직선제이든 간선제이든 전혀 무방하다는 의견이 있기도 한 반면 관심조차 없는 사람이 많다”며 “안타까운 것은 이처럼 간호사들이 화합을 못하고 있는 사이에 PA문제, 마취간호사 문제, 간호조무사협회와의 갈등 등 다양한 현안이 해결되지 못하고 계속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해당 서명운동은 9일 오후 9시 기준 약 1만4천여 명이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