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 가족까지 생각하는 포괄적 프로그램 중요
'돌봄인' 삶의 질 고려 '자조모임' 같은 공동체 형성 바람직

“현재 치매국가책임제 아래 치매 환자 위주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환자 본인 못지않게 고통 받고 있는 돌봄 가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정책적 고민 또한 중요합니다.”

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박기정 교수

박기정 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가 본지(일간보사·의학신문)와 만난 자리에서 평소 관심을 갖고 연구한 ‘치매와 돌봄인’의 관계를 설명하며 밝힌 대목이다.

박기정 교수는 “앞서 치매와 수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다”며 “알츠하이머, 경도인지장애, 보호자의 수면 관계 모두를 살펴봤는데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됐다”고 전했다.

연구결과 치매환자의 가족들은 일상생활에서의 피로는 물론 수면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즉, 박 교수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돌봄인’의 삶의 질 저하가 계속되면 보호자도 인지 저하가 유발되고 정서에도 크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

더욱이 대가족 문화가 점차 사라지면서 가족문화의 변화에 따른 공동체 의미가 희석돼 가족 돌봄에만 의지할 수 없는 현실을 우려했다.

박기정 교수는 “결국 치매 자조모임과 같은 새로운 공동체 형성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간병인 증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정책 실현에 큰 숙제를 안겨줄 것으로 판단되는 바, 이 모든 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가 시작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치매국가책임제가 사회와 경제 양쪽의 균형을 맞춘 형태로 시행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박 교수는 “치매국가책임제로 인해 치매가 전 국민적인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꼭 필요했던 일이기 때문에 환영”이라며 “단지 오는 205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치매환자가 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와 경제적인 부분들이 치매를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을 어떻게 대비하느냐가 문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치매 치료약의 획기적인 발전이 없는 현재 상황에서 헬스 케어 시스템의 구축과 예방이 치매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강조했다.

박기정 교수는 “선진국들은 헬스 케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다시 말해 의료적인 부분과 일상생활 등을 전반적으로 연결시켜 치매를 예방하도록 하는 사전적 포괄 관리의 개념을 시스템에 구축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어 “대학 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로서 치매 환자를 돌보는 것에 한계를 느낄 때가 간혹 있는데 이는 의료기관이 치매를 돌볼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며 “지금 가장 필요하면서도 비교적 빠르게 프로그램화 할 수 있는 것은 치매 환자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목적의 의료기관과 치매 시설간 유기적인 연계”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