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간염 퇴치 인프라 구축에 주력'

국가검진 도입-간염 전담부서 설치 '절실'

"(간학회는) C형간염을 국가검진에 포함해 전수조사를 하자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정부는 예산부담 때문에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하자는 쪽입니다. 하지만 선진 외국에서는 고위험군 선별검사에 부정적 견해가 많습니다"

변관수 간학회 이사장

변관수 대한간학회 이사장은 지난 11월 중순 추계학술대회를 마치면서 임기 반환점을 돌았는데, 남은 1년에도 C형 간염 퇴치 인프라 구축에 주력할 뜻을 분명히했다.

변 이사장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해 본 미국은 베이비부머 시대에 태어난 사람을 전부 실시하는 전수조사로 가고 있고 일본은 전국민 대상으로 스크리닝 검사하라고 하고 있다며 전수조사 필요성을 외국 사례를 들어 강조했다.

"정부가 C형 간염 전수조사를 꺼리는 것은 전수조사를 통해 발견되는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드는 예산문제라는 느낌을 받고 있어요. 그러나 C형이나 B형을 치료하는데 드는 비용은 그리 큰 차이가 아닙니다"

그는 C형과 B형 치료비를 집 살 때 현금 또는 월부로 구입하는 것에 빗대 설명했다.

B형 간염은 한번에 적지만 약값이 길게 지출되는 반면 C형간염은 한번에 많지만 석달만 치료하면 완치된다는 것.

변 이사장은 "C형간염은 본인 부담이 30%인데 비싼 약은 700만원, 싼 약은 200-300만원 정도 든다"며 "세달 동안 사용해야 하니 800만-2000만원 가량 든다"고 말했다.

"C형간염 치료에는 초기비용이 많이 들죠, 하지만 WHO(세계보건기구)가 C형간염을 2030년까지 퇴치시키겠다고 하는데 거기에 맞추려면 초기비용이 들더라도 해야 합니다"

그는 "(C형간염) 치료를 안해 간경화되고 간암이 되면 나중에 치료비는 더 많은 든다"며 "높은 초기비용이 문제가 될 수 없다"고 역설했다.

변 이사장은 간염을 관리하는 정부조직도 손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 질병관리본부(CDC)는 이미 20년 전에 인력 70명으로 간염부서가 따로 운영하고 역학조사관, 뇌 실험 부서, 행정지원 등 간염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이미 구축하고 있는데 우리는 간염 독립부서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변 이사장은 "(간염관리) 인원이 많고 적음이 아니라 질환별로 독립돼 돌아가야 한다"며 "우리나라에서 간 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독립 조직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게 맞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정부의 용역으로 대한간학회가 '간염관리 개선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히고 개선안에 간염질환 퇴치 인프라 확대 방안을 포함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간발표를 한 이 연구과제는 C형간염 대책이 주내용이지만 B형과 A형간염에 대한 연구를 마무리를 지어 정부에 제출한다고 변 이사장은 덧붙였다.

그는 C형 간염을 퇴치하는데 개원가 역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변 이사장은 우선 "C간염에 대한 국가검진이 안되는 상황에서 1차 진료를 하는 개원가 역할이 큰데 내과나 가정의학과에소도 C형간염 치료를 거의 하지 않는다. C형 간염 인터페론을 쓸 때 부작용이 우려되고 C형간염 먹는 약이 나와도 너무 고가니까 잘 안하려 한다"고 현실을 진단했다.

그는 하지만 검사에 2만원정도 들고 보험이 되니 몇 천원 정도 자기부담일 것"이라며 "국가검진이 도입되기 전이라도 개원가에서 스크리닝 잘 하면 진단률이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며 개원가의 관심을 주문했다.

변 이사장은 내년까지 2개의 C형간염 치료제가 새로 도입되는데, 이에 맞춰 C형간염 치료가이드라인을 정비하고, 바뀐 게 많고 유용성 있는 '간경변증 동반된 복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