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에선 30%밖에 받지 못해…국내 약가 80%로 상향해야

국내 바이오시밀러의 너무 낮은 약가 책정이 바이오시밀러 해외 진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해외에 진출할 시 약가가 너무 낮아 수지 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주장인데, 현행 오리지널 약가의 70%인 책정 기준을 올려야 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바이오시밀러 회사에 의해 개발된 제품들의 국내예상산정가격이 수입국의 바이오신약(개발목표제품과 동일제품) 대비 30%대로 상당히 낮은 수준의 가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현상은 국내에서 오리지널의약품의 가격이 OECD국가 평균약가의 50%미만에서부터 출발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50만원으로 책정돼있는 오리지널의약품 A의 경우,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경우 25만원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국내 제약사가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면 약가 책정을 25만원의 70% 수준인 받을 경우 17만 5천원으로 떨어지게 된다.

문제는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바이오시밀러를 가지고 해외로 진출할 경우 17만 5천원이라는 약가가 해당 국가로부터 ‘참조’된다는 점이다.

너무 낮은 국내 약가 책정은 해당 국가와의 약가 협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너무 낮은 가격으로 인해 채산성이 맞지 않는 상황도 발생한다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러한 현상의 단적인 예로 업계 관계자들은 보령제약 ‘카나브’를 든다.

카나브의 경우, 2011년 말 터키 제약사 압디와 4580만달러 규모의 카나브 독점 공급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으나 국내의 낮은 약가로 인해 터키 공급자가 사업적 매력도를 끝내 찾지 못해 수출계약이 해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에 대한 사후대책으로 정부가 사용량 약가인하 대상에서 환급제도로 보완했지만, 임시방편적인 가격정책이 아닌, 근본적인 가격정책이 있어야 제2, 제 3의 카나브 사례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특히 근본적인 방안 중 하나로 바이오업계는 정부의 바이오시밀러 약가의 조정을 80%대로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국내 바이오시밀러 회사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의 구축에 이바지 하려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육성은 미래성장엔진으로서의 수출효과 뿐만 아니라 고용창출 효과도 꽤 높다”면서 “현재 국내 바이오시밀러 산업에 약 2500명이상의 전문 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 매년 500명이상의 신규 전문인력 특히, 청년 인력의 채용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향후 10년 후 약 5000명 이상의 직접 인력 창출과 해당 산업의 발전에 따른 수천명의 임상시험 수행 및 제조시설 확충 인력 등의 간접 고용 창출효과가 예상된다”면서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받은 바이오의약품 산업이 글로벌 시장 선두주자를 위해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 지원 또한 함께 이뤄져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