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관리 미흡…최종 기증 거부율 65% 수준




국내 골수기증 등록 및 검사 사업이 시작된지 8년여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턱없이 부족한 정부의 예산 배정과 골수기증 희망자에 대한 사후관리 체계 미흡 등으로 제도 정착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수기증 희망자 확보를 위한 관련 단체별 공조 노력의 부조화 및 골수기증 희망 등록자의 경우 효율적인 사후관리 부족으로 최종 기증 거부율이 연평균 65%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져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같은 사실은 보건복지부 암관리과와 연세대 예방의학교실 공동 주관으로 지난 23일 연세대 종합관에서 개최된 `골수기증 희망자 등록 및 검사체계 개선방안 연구'를 위한 공개 토론회에서 제시됐다.

국내 골수기증 사업과 관련된 의료기관과 종교 및 민간단체, 한국골수은행협회,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복지부 등의 실무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공개 토론회서는 그간의 국내 골수기증 사업에 대한 제반 현황을 점검하고 새로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이중 골수희망자 모집체계 현황에 대해 발표를 맡은 김소윤 KONOS 장기수급조정팀장은 각국의 골수기증 실태를 소개하면서 “기증 희망자 모집 방법이 다양하지 못하며 이원화된 관리 자료, 사후관리 체계 미흡 등의 요인들로 98년도에 기증 거부율이 64.3%, 99년 70.6%, 2000년 6월까지 68.6% 정도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골수기증 희망자들에 대한 검사체계상의 문제점으로 혈청학적 검사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검사소요 시간이 짧으나, 검사 불일치율이 8.5%를 보이는 등 PCR 방법에 비해 상대적인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검사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해 연자로 나선 韓 薰교수(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장)은 “한정된 정부 예산으로 골수 공여자를 획득, 보다 많은 환자들의 치료기회 확대를 위해선 검사비용 감소 방안이 적극 강구되어야 할 것”이라며 “HLA 검사체계의 신속성과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 최저의 검사 비용으로 객관적 검사 능력이나 시설이 검증된 기관을 선정해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강승현 기자〉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