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주관으로 실시한 향정신성 의약품 불량포장 실사에서 상당수 제품이 '불량상태'로 확인됨에 따라 제약업계가 그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약사들의 관심사는 어떤 업체의 어떤 제품이 불량으로 확인됐는냐는 궁금증을 푸는 것으로 포장했지만 실상 속내는 자사 제품 포함여부를 확인하는 일.

 만약 특정사의 제품이 불량으로 세상에 알려질 경우 그 회사가 받는 불이익을 엄청날 것이라는게 업계의 공통 반응이다.

 그동안 의사나 약사가 불량 향정약으로부터 받은 피해에 대한 불만을 '불량'으로 찍힌 제품에 몽땅 퍼부을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게다가 향정약을 취급하거나 조제권을 갖는 약사나 의사가 '불량'으로 알려진 향정약을 취급, 스스로 무덤을 팔리도 없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의사나 약사에게 불량 향정약 공급사로 낙인 찍힐 경우 '조제약 배제'라는 한풀이용 먹이가 될 가능성도 있다"며 "그렇게 되면 해당 제약사가 받는 타격은 실로 클 것"이라고 진단했다.

 따라서 향정약의 조사결과에 대한 약사회의 자료는 엄청난 가치를 가지게 됐다.

 하지만 약사회는 약사의 마약사범화를 차단할 '본래 목적'으로 사용을 거듭 다짐 하고 있어 약속이 지켜질지에 제약계의 관심이 쏠리는 형국이다.

 우선 약사회는 약속을 지키는 것이 타당하는 지적이 많다.

 무엇보다도 당초 일선 개국가에서 여러차례 지적된 불량 향정약을 확인할 목적으로 전수 조사나 통계 규칙에 따라 대상이 선정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 공식화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약사회는 이번 향정약 조사 결과를 '제약사 길들이기'로 악용할 의사가 전혀 없다고 확인하고 있다.

 향정약 계수작업에 들어가기전부터 이번 조사가 '제도 개선용'임을 강조하고 계수대상 향정약의 생산사나 제품명을 밝히지 않았다.

 홍보실 관계자도 조사결과가 나온 이후인 7일 "이번 향정약 조사결과는 일선 개국가에서 종종 발생하고 있는 '억울한 마약사범'을 차단하는 제도적 장치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약속 준수를 거듭 다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사회 약속 준수에는 많은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계수작업시 동원된 직원이나 참관자들에 대해 단단한 단도리를 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만약 단편적인 정보들이 아름아름 알려져 약사나 의사들이 기정사실화 한다면 뜻하지 않게 '억울한' 제약사를 양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향정약을 생산하는 제약사들은 약사회의 약속대로 '불량 향정약'이 비밀에 부쳐지면 작은 소나기는 피하는 셈이다.

 그러나 정부가 이번 약사회의 결과를 단초로 향정약에 대한 수거검사를 계획하고 있어 큰 소나기를 기다려야 하는 형편에 놓이게 됐다.

 식약청의 향정약 실사는 공식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불량 향정약으로 찍혀 설자리가 없음을 의미한다.

 향정약 제약사들이 당장 포장방법 개선 등 향정약의 정도관리에 나서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