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소 신축으로 13개소 분석센터(275좌석)…질병청 등 부처협력으로 DB 구축도
신순애 본부장 “데이터 민간 수요 적극 발굴하고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해 나갈것”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건보공단 빅데이터전략본부가 빅데이터분석센터를 확대하고 분석환경을 개선해 보건의료 정책‧학술연구의 자료제공 대기기간을 줄이는 등 성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신순애 빅데이터전략본부장<사진>은 지난 1일 전문기자협의회 브리핑을 통해 최근 1년간 빅데이터본부 추진 사업 성과와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신순애 본부장은 “공단은 새 정부 디지털 플랫폼 국정과제 추진 등 정책 및 대외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전 국민데이터를 중심으로 신규 데이터 수집·연계를 통해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해 근거와 분석에 기반한 정책 수립 지원, 다양한 연구 수행과 데이터 개방 및 활용으로 국민에게 유익한 서비스 제공과 사회안전망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건강보험, 장기요양 업무수행 과정에서 축적된 빅데이터 및 인프라를 갖추고, 질병청·환경부·식약처 등 정부 부처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공영역 중심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해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질병청과 코로나19 빅데이터를 구축해 코로나19 백신효과 및 후유증 연구 수행 등 과학적 방역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식약처와 의약품(의료기기) 안전성·유효성 검증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환경부와는 빅데이터 기반 환경성 질환 연구 지원 등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특히 현재 질병청과는 결핵DB 6종(결핵환자, 잠복결핵검진 등) 및 코로나19 DB 3종(예방접종, 이상반응, 이상반응 상세정보) 구축을 완료했으며, 코로나19 DB 2종(확진자, 역학조사) 연계를 추진하는 등 활발한 성과를 내고 있다.

또한 보건의료 연구 활성화를 위해 공단 보유 정보를 실제 활용 가능한 형태의 연구용 DB(표본형‧맞춤형)로 재구축해 ‘국민건강정보자료 제공 운영규정’에 따라 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 홈페이지를 통해 빅데이터 개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2014년부터 2022년 9월까지 8503건의 연구용 DB를 심의했으며,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결합 및 반출 수행으로 보건의료분야 결합전문기관 중 최고‧최다 결합(27건)을 진행해 가명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정착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9월 ‘제2회 가명정보 활용 우수사례·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활용 우수사례’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울러, 보건의료분야 연구자의 건강보험 빅데이터 사용에 있어서 자료제공 대기기간 단축 등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 계정, 서버사양 고도화 및 분석센터 좌석 증설 등을 통해 제공 인프라를 개선하고 분석자원 모니터링을 강화 조치했다.(미사용 계정 모니터링 및 회수)

그 결과 정책연구는 5개월에서 3개월 이내로, 학술연구는 7.5개월에서 4.5개월 이내로, 표본연구는 9개월에서 5개월 이내로 대기기간을 각각 단축했다.

여기에 더해 내년 12월까지는 가상화 분석룸을 2차 증설해 845개에서 1245개로 늘리고 분석서버를 확충하는 등 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대학교·의료데이터중심병원과 협력해 서울, 부산, 대구 등 전국 13개소 분석센터에 275좌석을 설치해 분석환경을 개선하는 등 인프라를 확대(10개소,167석→13개소, 275석)했다. 이중 신축된 3개소(108석)는 서울대병원(20석), 연세의료원(28석), 서울대학교(60석)이다.

또 효율적인 좌석 운영을 통한 회전률 제고 등으로 자료제공 대기 기간을 정책연구 2개월, 학술연구 등 3개월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신순애 본부장은 “공단은 민간-공공기관 협력 강화방안(2022년 9월, 기재부) 등 정부 정책방향에 발맞춰 지난 8월부터 빅데이터 기반 민간 지원 추진단을 구성‧운영(내부 겸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데이터 관련 민간 수요를 적극 발굴하고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데이터경제 활성화에 적극 기여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