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연, '국민정신건강 관리 모형 : 직장인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발간
일반검진에 정신검사 포함할 것 제언..검사 영역 확대도 제안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근로자 정신건강 고위험군 조기 선별을 위해 일반 건강검진에 정신건강검사를 포함해야 한다는 제언이 의료정책연구소 연구로부터 나왔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소장 우봉식)는 '국민정신건강 관리 모형 : 직장인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보고서(연구책임 : 강북삼성병원 조성준 교수)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관련한 정신건강지표(우울, 불안, 불면 스트레스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리 모형을 도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강북삼성병원 직장건강연구소 정신건강상태 프로그램에 참가한 52개 기업과 정부기관 소속 20세부터 65세까지 1만 5199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상태를 분석했다.

주요 조사항목으로는 사회인구학적요인(나이,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직급, 근속연수), 근로시간, 직무스트레스(KOSS-SF 설문 및 PSS), 회복탄력성(K-CD-RISC), 우울증상(CES-D), 음주척도의 전체점수(AUDIT-K), 의존/문제행동(AUDIT-C), 음주의 양/빈도(AUDIT-D/P) 등이었다.

분석결과, 우울증상군은 대조군에 비해 연령이 낮고, 여성이면서, 저학력이고, 직급이 낮으며, 주40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높았다.

근로자의 자살사고(생각)와 근무시간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 근로자에서 자살사고가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근무시간이 긴 것을 확인했다.

우울증상 없는 군(CES-D 16점 미만), 우울증상은 있으나 자살사고는 없는 군, 우울증상이 있고 자살사고도 있는 군으로 구분해 알코올 사용 행태를 비교한 결과, 음주척도의 전체점수(AUDIT-K)와 양/빈도(AUDIT-D/P)는 임상적 우울증상 유무, 자살사고 유무에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던 반면, 음주의 의존/문제행동(AUDIT-C)는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력이 없는 군, 자살사고는 있으나 자살시도력은 없는 군, 자살사고가 있고 자살시도력도 있는 군으로 구분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알코올 사용 행태를 비교한 결과, 음주 척도의 전체점수(AUDIT-K), 의존/문제행동(AUDIT-C), 양/빈도(AUDIT-D/P)는 그룹 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살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주척도 점수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연구진은 근로자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모델을 2가지 차원에서 제안했다.

먼저 근로자 정신건강 조기 선별을 위해 일반 건강검진에 정신건강검사를 포함할 것과, 우울장애 뿐만 아니라 불안장애 및 알코올 사용 장애 등까지 검사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가(정신건강의학 및 훈련받은 일반의)를 통한 치료 연계를 강화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정신건강문제 조기개입 강화의 필요성도 강조하였는데, 이를 위해 정신건강 검진 및 상담 희망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F코드(정신질환) 대신 Z코드(일반상담)로 검진 및 상담 진행이 가능하도록 개선할 것과, 검진 기관에 연계율에 따른 차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동기유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의료정책연구소 우봉식 소장은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높은 업무강도와 무한 경쟁 등으로 항시 정신건강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는 근로자 개인과 기업은 물론 가족과 사회적 차원에서도 큰 손실이라며, 정신건강 고위험 근로자를 조기 선별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