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의료기기 등 뒤이어…창업 이후 ‘전문인력·자금조달’ 최대 애로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연구중심병원을 플랫폼으로 창업한 기업이 101개로 확인된 가운데, 창업자로는 임상의(63개)가, 업종으로는 R&D서비스(49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창업준비 과정에서 혁신지원조직 역할 부족에 애로사항이 컸으나, 창업후에는 전문인력 부족과 자금조달에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변화가 있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최근 공개한 ‘연구중심병원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연구책임자: 한경주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 연구원)’에서는 이 같은 내용이 소개됐다.

연구진은 연구중심병원 플랫폼을 기반으로 창업에 성공한 기업을 정리하고, 이들 중 창업기업 대표(35명)와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했다.

연구진 확인 결과, 현재 인증된 10개의 연구중심병원 플랫폼을 기반으로 창업한 기업은 101개社였다. 이들은 기술지주회사와 폐업한 창업기업 등을 제외했으며 인터뷰 과정에서 일부 기업이 추가된 것이다.

이들 101개 기업 중 83개는 연구중심병원 소속 임상의(64명), M.D.-Ph.D.(3명), 비임상 교수(6명), 연구중심병원 외 타의대 소속 M.D.-Ph.D.(2명)와 교수(8명)가 연구중심병원 플랫폼을 활용해 직접 창업한 기업이었다.

또한 연구중심병원 플랫폼을 통해 창출한 기술 등을 이전받거나, 소속(혹은 협력) 대학의 유관 분야 전공 교수 등이 연구중심병원 플랫폼 지원을 받아 창업한 기업은 18개였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연구중심병원 플랫폼을 통한 창업은 병원 소속 연구자가 주도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진료활동을 겸하는 임상의가 중심이 돼 창업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하지만 병원 소속 임상의를 제외하고도 병원이나 대학 소속 M.D.-Ph.D. 교수 등도 상당부분 기여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이들 기업 중 46곳(45.5%)은 민간 투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었으며, 외부감사 대상 기업은 7곳, 코스닥 상장기업이 1개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서는 “자본시장에서 연구중심병원 기반 창업기업의 우수한 기술 역량이 일정 수준 인정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면서도 “규모나 경영성장 측면에서는 아직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정리했다.

업종별로 보면, 연구개발(R&D)서비스업 분야 업종이 49곳(48.5%)으로 전체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디지털헬스 23곳(22.8%), 의료기기 제조업 18곳(17.8%), 의약품 제조업 7곳(6.9%)였다.

최근 6년(2016~2021년)간 창업기업 설립현황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강화됐는데, 6년간 연구중심병원 플랫폼 창업기업 93곳이 늘어난 가운데서도 R&D서비스업 기업이 48곳, 디지털헬스 기업이 22곳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구중심병원 기반 창업 차별성’ 문항에 대해서는 창업기업 대표 35명 중 32명이 응답했는데, 이를 연구진이 5가지로 분류한 결과 △환자 등 임상시험 자원활용과 임상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도 바탕의 임상 검증 신속성·용이성(53.1%, 17곳) △임상적 미충족 수요 파악(31.3%, 10곳) △병원만이 보유한 보건의료데이터 접근·활용(21.9%, 7곳) △기초-중개-임상으로 연계되는 전주기 대응을 위한 연구인프라(12.5%, 4곳) △연구중심병원 네임벨류를 활용한 외부기관들과의 공동연구 용이(12.5%, 4곳) 등이 있었다.

창업 과정에서의 주요 애로 요인은 창업 전·후로 나눠 단계 구분 없이 5가지(전문인력/혁신지원조직/엄격한 겸직/창업공간/자금조달)의 공통된 요인을 도출했다.

이중 혁신지원조직은 혁신지원 조직의 전문성 부족과 창업과정에서 필요한 정보·행정절차 부족을, 엄격한 겸직제도는 임상의를 중심으로 연구 및 진료업무를 동시에 수행하는데 따르는 부담과 이를 배려받지 못하는 상황을 포함한다.

창업 준비과정에서는 ‘혁신지원조직 역할 미흡’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33.3%), 이어서 ‘전문인력 부족’(21.2%), ‘엄격한 겸직제도’(18.2%), ‘자금 조달 어려움’(18.2%)이 유사한 수준의 애로 요인으로 조사됐다. ‘창업공간 확보’에 대한 어려움은 가장 낮은 수준인 9.1%의 창업기업 대표들이 관련 애로사항을 토로했다.

또한 창업 준비과정에서만 나타나는 애로 요인으로 ‘무리한 창업 추진’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외부 환경적 제약보다는 창업자가 창업절차와 경영·재무관리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거나 명확한 비즈니스모델 구축 없이 창업을 추진함에 따라 기인하는 애로 요인 등을 의미하는데, 전체 응답자 중 31.2%가 창업 준비과정에서 이러한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대답했다.

창업 이후 단계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전문인력 부족’(48.4%)과 ‘자금 조달 어려움’(41.9%)에 대해 40% 이상이 애로 요인이라고 언급했으며, ‘엄격한 겸직제도’(22.6%), ‘창업공간 확보’(22.6%), ‘혁신지원 조직 역할 미흡’(16.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창업 준비과정과 이후를 비교하면서 “창업 준비과정 단계에서는 창업 이후 단계보다 ‘혁신지원 조직 역할 미흡’에 대해 2배 이상의 창업기업이 애로 요인으로 응답한 반면, ‘전문인력 부족’, ‘창업공간 확보’ 그리고 ‘자금조달 어려움’에 대해 창업 준비과정 단계보다 창업 이후 단계에서 2배 이상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분석하며 “창업 단계별 수요에 맞는 지원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