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도 의존도 증가 전망…약가 우대·컨트롤타워 수립 등 정부 지원 ‘절실’

[의학신문·일간보사=김민지 기자] 원료의약품의 해외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원료약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보건산업정책연구에서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원료의약품 수급의 문제 및 국산화 대책방안’에 소개했다.

전 세계 원료의약품(API) 시장은 2020년 기준으로 1871억 4000만 달러(239조3521억원)에서 연평균 6.10% 증가, 오는 2025년에는 2516억 7000만 달러(321조8859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원료의약품 시장은 중국과 인도를 바탕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문제는 국내사들의 해외 원료약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국내 원료약 자급도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식약처 식품의약품통계연보에 따르면, 국내 원료약 자급도는 2014년 기준 31.8%였다. 이후 2015년 24.5%로 떨어졌으며 지난 2019년에는 16.2%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제로 국내사의 국산원료의약품 대비 수입원료의약품 사용 비율은 9:1(수입:국산)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원료의약품 수입국은 중국·인도 의존도가 실제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국내 원료의약품 자급도가 단기·중장기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인도의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중국과 인도는 인건비 등으로 가격 경쟁력을 앞세우고 있다. 세계은행이 발표한 ‘필수 의약품의 원료의약품제조에 관한 탐구 연구’에 따르면, 서구 원료의약품 기업의 평균 임금 지수가 100인 경우 중국 기업이 8, 인도 기업이 10으로 나타났다.

FDA 보고서에 따르면, 동일 원료약을 인도에서 제조할 경우 미국과 유럽 소재의 기업 대비 비용을 약 30~40%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원료약 해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로 국가별로 원료약 수출을 제한하면서 제약업계는 원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수급처를 변경한 제약사들도 있었다. 진흥원과 제약산업전략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 기간동안 수급처를 변경한 5곳 중 4곳은 변경사유로 중국에서 발생한 생산중단 및 공급안정성, 물류지연, 감염병으로 인한 지역봉쇄, 관공서 폐업 등을 꼽았다.

보고서에서는 “일부 국가에 편중된 원료의약품 제조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원료의약품 수요자에 대한 협상력이 저하되고 있다”며 “특히 항생제와 같은 의약품은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 생산을 독점하고 있다. 특히 항생제와 같은 의약품은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 생산을 독점하고 자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종의 협상 카드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국내 원료의약품 자급화의 비율을 높이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보고서의 의견이다.

보고서는 “정부는 국산 원료 활용시 의약품 가격을 우대하고, 친환경 공장 설비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세제와 투융자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내 원료의약품 산업의 규제기관이 다양하고, 특정경우에는 동일 내용도 규제기관에 따라 각각 별개로 요청하고 있다. 국내 원료의약품 제조업체 입장에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있다”며 “원료약 관련 범부처 컨트롤타워 수립을 통해 지원사업의 중복을 줄이고 규제·관리 일원화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