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밀도 수치는 약물 치료 시작 기준점되야…우리나라는 치료 중단 수치로 작용
치료율 15% 증가하면 440만건 골절 예방과 16조원 비용 절감 효과

[의학신문·일간보사=김상일 기자]지속적인 치료 관리가 필요한 골다공증 치료를 정부가 급여 여부를 결정하는 골밀도 T-score가 저해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치료 중단으로 인해 사회적 비용이 더 소요되고 있어 골다공증 치료 급여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손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는 골다공증 치료시 골밀도 검사에서 T-score가 -2.5보다 높아지면 급여 혜택을 받지 못한다. 이에 환자들은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아 노년 환자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골절에 노출되어 있다.

문제는 골다공증 치료 목표가 T-score를 일정 수준 높이면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골 흡수를 억제하고 골형성을 촉진시켜 T-score를 높이는 것. T-score -2.5를 기준으로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치료를 시작하지만 -2.5를 초과해도 골다공증 위험이 사라졌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같은 골다공증 지속치료 기간에 제한을 두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며, 국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특정 골밀도 수치(T-score -2.5)는 약물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 기준으로 권고하고 있을 뿐 약물 치료를 중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다.

특히 골다공증은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최근 연구로도 확인된 바 있어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를 통해 환자 건강과 사회적 비용 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치료 증가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시뮬레이션 분석‧추정한 연구에 따르면 20년 간 골다공증 치료율이 12.53%에서 18.8%까지 1.5배 높아지면 440만 건의 골절 예방과 약 16조 원의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치료 순응도가 22.1%에서 33.15%로 1.5배 증가할 경우 17만 5500건의 골절을 막고 약 7819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성의 골다공증 진단과 치료 개선의 미래 임상 및 경제적 효과 추정이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이 연구는 국군수도병원 정형외과 양규현 교수가 진행했으며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모델을 사용해 2020년부터 2040년까지 20년 간의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 증가가 폐경 후 여성의 골절 및 골절 관련 비용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했다.

국군수도병원 정형외과 양규현 교수는 “골다공증 환자가 꾸준히 치료를 이어나가는 것이 골절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양규현 교수는 “실제 진료현장에서는 빠르게 골다공증을 검진하고 꾸준한 골다공증 치료를 통해 골밀도가 높아졌지만 이후 급여가 되지 않자 치료를 중단했다가 골절을 겪는 환자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며 “골다공증 치료가 골절 예방을 통한 사회경제적 비용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만큼 골다공증 지속치료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위한 치료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