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산업계, 3년내 미FDA 허가 품목 배출이 목표
국가대표급 혁신신약 파이프라인 30여품목 선정작업 완료

[의학신문·일간보사=김영주 기자]제약바이오산업계는 왜 메가펀드 조성 필요성을 강조하고, 펀드가 조성되면 어떻게 하겠다는 것일까?

혁신 신약개발을 위한 10조 메가 펀드 조성에 대한 산업계 요구에 여야 정치권이 지원 사격에 나서고, 정부도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긴 하지만 최근의 이 같은 분위기는 현실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왜 이 시점에 메가 펀드인지, 대응방안은 무엇인지 산업계 입장에서 살펴본다.

기술수출만으론 안 돼…신약개발 전주기 완료 필요

지난 2015년 한미약품의 다수의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이 글로벌 제약기업에 수조 원 대의 기술수출 성과를 올릴 당시만 해도 토종 혁신신약의 탄생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물론 글로벌 임상을 거쳐 FDA의 제품허가까지 쉽지 않은 과정이 기다리고 있었지만 글로벌 빅 파마의 연구개발 능력에 파이프라인도 다수인만큼 시간이 문제일 뿐 신약개발은 당연히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던 것.

그러나 희소식이 전해져야 할 시점에 정작 돌려오는 소식은 기대와는 거리가 멀었다. 다수의 기술수출품들이 권리 반환으로 되돌아왔다. 물론 게 중에는 임상결과 효과 및 안전성이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경우도 있었다. 문제는 파트너 기업의 사정이 원인이 돼 끝내 빛을 보지 못한 경우도 있은 것. 해당 기업의 제품정책 변화로 관심에서 멀어짐으로써 임상에 덜 열심이라는 합리적 의심을 사는 케이스도 있었고, 경쟁제품과의 시장선점을 위한 시간싸움에서 밀려 눈물을 흘려야 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스스로 임상을 할 수 있었다면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었다는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이 같은 상황들은 신약개발 전주기를 스스로 완성해내는데 대한 필요성을 절감시켜줬고, K-블록버스터 개발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과 함께 국내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원 팀 구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국내 50여개 제약바이오기업들이 70억 기금을 공동 출자한 제약바이오산업 사상 최초의 공동 투자·개발 플랫폼,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의 발족 배경이다. 컨소시엄은 기업의 기술/현금/현물 출연과 민간-정부 공동 투자를 통한 펀드를 추진하며 글로벌 임상개발과 사업화 목적의 공동플랫폼을 구축, 협업을 통한 글로벌 블록버스터를 창출을 도전한다는 목표를 정하고 있다.

30여개 국가대표 파이프라인 선정…메가펀드 이후 대응 갖춰

메가펀드 조성 이후에 대한 산업계의 복안은 이미 마려돼 있다. 메가펀드 조성과 함께 연구개발 전 주기의 각 주체들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가대표급 신약 파이프라인을 추려 후기 임상개발에 집중 지원,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통한 신약강국으로 거급난다는 목표이다.

국가대표급 신약 파이프라인과 관련, KIMCo 허경화 대표는 “자체 조사 결과 현재 희귀질환 및 항암제 파이프라인이 900여개 이고, 이중 임상단계가 380여개 이며, 이 중 국가대표급을 선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허 대표는 다른 발표에서 대략 30개정도로 국가대표 후보군을 선정했다고 전한 바 있다.

그러면 볼록버스터 탄생은 언제끔 가능할까? 그에 대해 허 대표는 “메가펀드가 조성되고 국가대표 파이프라인이 선정돼 연구개발에 들어가 3년 내 미국FDA 허가 목표”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