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치료와 재활, 새 질병 예측과 예방·진단 모든 상품과 서비스 ‘비대면’ 급속화
한국디지털헬스협회 김웅순 이사, 체감형 서비스 지원 및 오픈 플랫폼 등 비전 제시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전 세계적인 인구증가 고령화,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 및 의료서비스 불균형에 대한 완화 요구와 동시에, 발달된 디지털 기술과 방대한 데이터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 위기를 맞아 세계 각국은 전염병 극복을 위해 AI, 블록체인, 원격의료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기술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시스템 체계화와 오픈 플랫폼 보급사업 등을 통해 다양성이 존재하는 생태계로 발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디지털헬스협회 이사 김웅순, 실장 양희영은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바이오헬스 산업의 넥스트 노멀연구보고서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먼저 코로나19 이후는 이전과 확연히 달라진 비대면의 시대이며, 달라진 상태가 정상이 되는 뉴노멀의 시대이다. 우리는 이 바뀐 세상에 적응해야 하고 기회를 찾아야 하는 가운데 헬스케어 분야는 가장 큰 혜택을 받는 그러면서도 인류를 위해 가장 빨리 변해야 하는 산업이라고 평가했다.

환자 치료와 재활은 물론, 새로운 질병에 대한 예측과 예방, 진단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가 이 산업에 속한다. 특히 헬스케어 분야는 비대면의 특성, 즉 일상생활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가장 빨리 움직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원격은 감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대면하는 환경을 제한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등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생활 방역 특성 상 원격의료를 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비대면 의료는 코로나 발발 전부터 꾸준히 성장해 온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트렌드이긴 하지만 팬데믹이 새 전기를 마련해줬다.

다만 원격이라는 단어는 긍정적, 부정적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나 직접 보지 않고 진찰한 결과를 믿을 수 있느냐는 신뢰성의 측면과 특정 병원 또는 의사에게만 진료가 몰리는 상황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의료서비스 측면에서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신세계로 주목받겠지만, 기술적 완성도가 부족하고 성급한 시장 개척으로 평가 받지 않도록 시스템을 체계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와 서비스의 효용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낮은 수준이며, 여전히 국내 기업들은 소비자 인식 부재, 각종 규제로 인해 시장에서 제품, 서비스를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가 차단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관련 기업들은 차별화된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해도 수요자(Payer)가 부족한 국내 시장에서 살아남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는 것.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근로자, 취약계층, 고령자 등을 우선으로 수요자 체감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실증을 지원해 서비스 효용 제고와 함께 개인 스스로 건강개선 및 건강증진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수요자(기업 및 개인)와 공급(헬스케어 기업)이 자유롭게 헬스케어서비스(제품, 솔루션, 서비스 등)를 선택하고 가치 기반의 비용 지불 구조를 확대하는 오픈 플랫폼 및 보급 사업을 예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수요자가 디지털헬스 전문기업의 서비스 및 솔루션을 활용토록 적극적으로 연결하고, 개인·기업 등 수요자 니즈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고, 예방 차원의 건강관리를 통해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