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케어 시장 규모 2026년 600조 전망…디지털헬스케어 가치 반영할 수가제도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정민준 기자]국내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에서 진행된 세미나에서 디지털의료기기가 발전하고 있는 지금이 보험 수가를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지난 18일 제36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키메스, KIMES 2021)에서 ‘인공지능시대 디지털헬스케어의 미래-병원, 기업, 정부 기관에서 바라보는 디지털헬스케어’ 세미나를 개최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대응 현황에 대해 박대웅 진흥원 혁신기획팀장과 뷰노 김현준 대표가 정부기관, 기업에서 바라보는 입장을 발표했다.

박대웅 혁신기획팀장은 “독일은 이미 디지털 의료기기에 보험수가를 적용한 법안이 마련되고 시행되고 있다”라며 “우리나라도 지난해 디지털의료기기가 첫 허가 이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이 수가를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고급 컴퓨터 공학을 사용하는 분야를 넘어 e헬스까지 포함해 2019년 기준 100조 원 규모였으며 2026년 600조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박대웅 팀장은 “디지털헬스케어의 핵심 성장 요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인 기술적 측면과 건강관리의 중요도가 증대해진 보건의료적 측면,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진료와 함께 의료진의 효율적 진료의 필요성 등 3가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대웅 팀장은 “이처럼 발전하는 디지털헬스케어를 보완하기 위해 그에 맞는 수가제도 구축이 필요하다”며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하나 접근법에 따라 한계도 분명이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이어 박 팀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헬스케어 수가 적용에 대한 준비는 이뤄지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디지털헬스케어의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수가제도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현준 뷰노 대표는 기업적 측면에서 “새로운 혁신의료 기술이라는 점에서 국내 규제가 보수적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식약처는 세계최초로 AI의료기기 허가 가이드라인을 수립했다”며 “이는 규제가 높은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혁신기술이 정부 주도로 사용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현 대표는 “디지털헬스케어라는 분야는 결국 시장성을 입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사업적 기회가 풍부한 만큼 기업은 책임을 지고 임상근거와 사업성 근거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대표는 “디지털헬스케어를 보험 급여 내로 포함시키는 것은 보수적일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급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미래에는 수가를 받는 가능성이 높다”고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