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률 낮아 백신 접종 전후 비교 사실상 ‘불가능’…올해 백신 개발 국가 투자액만 ‘761억원’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낮은 국내 감염률과 전국민 접종 등으로 인해 실제 백신 개발은 녹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2일 제약업계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현재 임상 환경으로는 국내 개발 코로나19 백신이 임상3상을 국내외에서 수행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1일 기준 7만8508명으로 일일 확진자 수는 303명이었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율은 1.4%로 임상 전문가들은 이정도 수치로는 백신 접종 전후를 비교하는 임상을 진행하기에 ‘터무니없이 작은 수치’라고 설명한다.

그렇다고 임상3상 없이 ‘조건부 허가’를 진행할만한 명분도 마땅치 않다. 이미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등의 백신이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어서 조건부 허가를 강행할 만큼의 시급성을 가지기 어렵다. 무엇보다도 조건부 허가는 ‘향후 임상3상’이 전제돼야 하므로, 완벽한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전국민 코로나19 백신접종 정책 또한 국내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어렵게 하는 요소 중 하다. 이미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경우, 임상 참여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현재 정부는 오는 11월까지 전국민 백신 접종을 완료해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백신 임상3상을 진행하려면 대규모 임상군이 필요하다”면서 “해외에서 임상3상을 진행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미 글로벌 제약사들이 백신 공급을 시작한 상황에서 과연 해외 임상사이트를 열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임상3상에 돌입한 케이스는 ‘0건’이다. 업계에서는 최소 하반기는 돼야 임상3상 문턱에 다다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끝까지 지원한다’는 대전제에만 몰두한 나머지, 세부 전략을 소홀히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제기한다. 정부는 올해 올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만 총 761억원(비임상지원 74억원 포함)을 투입했다. 그러나 고질적으로 제기된 임상환자 부족을 어떤 식으로 해결할 지에 대한 고민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게 업계의 주장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면역원성을 보는 방법으로 임상 디자인을 준비할 수도 있지만, 이 또한 난제들이 많다”면서 “정부와 업계가 함께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