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만성질환 관리 위한 특성화의원-기능적 일차진료의원 수평적 협력체계도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일차의료의 공급 협력체계와 진료범위 효율을 재정립하기 위해 포괄적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적 일차의료인’이 최대 2만 5000명까지 필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내용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본문과 관계없음(출처: 픽사베이)

또한 노령층과 복합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특성화의원’과 ‘기능적 일차진료의원’ 간 수평적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외부연구용역으로 제출받아 공개한 ‘의료공급체계 개선 이행전략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서울대 산학협력단, 책임자 김윤 교수)’에서는 일차의료 분야와 관련 이같은 결론이 도출됐다.

연구팀은 국내외 일차의료 공급체계 모형 문헌을 고찰하고, 지역사회 고이용 고지출 환자 현황을 분석했으며, 고이용-고지출(High need-High cost, HNHC) 환자의 조작적 정의 및 분류했다.

또한 의원의 기능적 분류별 적합 부적합 질환 분포 분석, HNHC 환자의 유형별 일차의료 협력진료 모델 제안, 의료인‧환자(그룹당 3명) 대상 초점 대상자 인터뷰(FGI) 등을 함께 진행했다.

연구 결과, 복합만성질환의 증가로 지역사회 내 포괄적 진료 서비스 제공하는 ‘기능적 일차의료 의원’ 확대가 필요하나, 국내 의원 중 30.6%에 불과하고, 상대적으로 일부 영역을 집중적으로 진료하는 ‘특성화의원’은 54%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리 질환 범위를 좁혀서 보면, 국내 신규 진단된 당뇨병, 고혈압 환자가 단골병원이 기능적 일차의료 의원인 경우, 의료이용 지속성이 높으며, 향후 심뇌혈관 질환 발생위험도가 낮고, 전체 의료 비용 및 본인부담금은 낮았다.

다학제적 진료서비스 요구가 높은 노쇠노령층과 복합다중만성질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내 ‘특성화의원’과 ‘기능적 일차의료 의원’ 간 수평적 의뢰-회송 활성화 및 진료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지역사회에서 고립되기 쉬운 의료-사회적 취약대상자에게 몸-마음-사회 건강을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적 일차의료 의원’을 육성하고, 지역 중심의 ‘특성화의원’-‘기능적 일차의료의원’ 진료협력 체계를 지원하는 새로운 의료전달체계 패러다임 구축이 요구된다는 것.

또한 연구팀은 의료전달체계의 목적을 확실히 하고, 의료공급 및 수요 예측에 대한 조사가 선행된 후 적정 진료와 적정 공급을 구체화 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적정진료체계를 택할 경우 환자 1인당 진료시간 증가하는 반변, 총 진료 건수는 감소하는데 대한 대안 마련 및 적정 수가가 제대로 인정돼야 한다는 것.

현재 질병별로 분절화된 진료 현황에서 포괄적 진료에 대한 적정 진료시간을 부여하고, 기능적 일차의료, 특성화의원 및 경계성 의원 간에 협력체계구축과 진료 범위의 효율적 재정립을 위해서는 최소 7938명, 최대 2만 2539명의 기능적 일차의료인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짚어내기도 했다.

연구팀은 기능적 일차의료인 양성을 위한 장‧단기 모델도 함께 제안했다.

단기 대책으로는 경계성 의원이 기능적 일차 의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현재 전문의 위주의 수련제도에 기능적 일차의료인을 양성하는 제도로 개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상급 병원의 환자 쏠림현상을 해소하고, 고이용 고지출 환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기능적 일차의료 의원’과 특성화의원의 협력 체계 강화 또는 전문성과 포괄성을 겸비한 확장된 일차의료 의원 모형이 필요하다고 결론내렸다.

더불어 기능적 일차의료인 수요 공급량 및 일차의료 협력 체계는 지역별 특성에 따라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별로 적정 의료기관 공급을 견인할 수 있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