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 연구팀, 10년간 추적관찰…백혈구 제거 혈액 수혈, 재발률·사망률↓
헌혈 시 백혈구 바로 제거해야…간이식 환자에 혈액 사용 우선권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기자] 간이식 수술 시 일반혈액제제 대신 ‘백혈구제거 혈액제제’를 수혈해 간암 재발을 낮출 수 있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 마취통증의학과 권지혜•한상빈 교수 연구팀은 2008년 3월부터 2016년 3월 사이 간세포암 치료를 위해 간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연구요건을 충족하는 166명을 최대 5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결과 간이식 후 간암 재발률은 ‘일반혈액’ 수혈 시 1년 후 15.6%, 2년 후 21.6%, 5년 후 33.7%였으나 ‘백혈구제거 혈액’ 수혈 시 1년 후 9.6%, 2년 후 15.6%, 5년 후 18.1%로 2배 가까이 줄었다.

특히 사망률도 백혈구제거 혈액이 전반적으로 더 낮았으며, 5년 후 사망률 또한 백혈구제거 혈액수혈 시 16.7%, 일반혈액 수혈 시 28.9%로 나타났다.

즉 타인의 백혈구가 다량 포함돼 있는 일반혈액제제가 간암 재발 위험을 높이는 이유는 백혈구로부터 분비되는 면역조절물질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혈액이 헌혈 후 수혈되기 전까지 냉장보관되는 동안 면역조절물질들이 백혈구로부터 빠져나가 혈액제제 내부에 축적된다.

게다가 수혈 시 혈액과 함께 환자에게 주입된 면역조절물질들은 면역력을 떨어뜨려 암세포에 대한 저항력을 낮추는 동시에 혈관 내 순환 중인 암세포들이 이식된 간을 포함한 폐, 뼈 등 인체 다양한 부위에 붙어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

연구팀은 “백혈구제거 혈액의 경우 ‘혈액원’에서 혈액제제가 만들어질 때 이미 백혈구가 대부분 제거돼 냉장보관 동안 혈액제제 내부에 면역조절물질이 쌓이지 않는다”며 “일반혈액제제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수혈 직전 백혈구를 제거하기도 하지만 백혈구만 제거될 뿐 이미 분비된 면역조절물질은 혈액 내부에 그대로 남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간이식과 관련 백혈구 제거 시점이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온 만큼 냉장보관 전 백혈구가 제거된 혈액에 대해 간이식 환자에게도 우선권이 보장돼야한다는 점을 피력했다.

이는 현재 혈액원의 시설, 인력, 비용 등 문제로 ‘냉장보관 전 백혈구제거’는 전체 적혈구 제제의 15%로 제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면역저하가 극심한 혈액암, 항암치료 등에게만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간이식은 며칠 사이 몸속에 남은 암세포들이 빠르게 전이를 진행한다”며 “일반혈액 대신 백혈구제거 혈액을 사용함으로써 간암 재발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 만큼 간이식 환자에게 백혈구제거혈액 사용 우선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연구팀은 “수술 중 출혈된 환자 본인의 피를 회수해 다시 수혈하는 ‘자가수혈기법’ 역시 적극적으로 사용되야 한다”며 “자가수혈 없이는 제한적으로 공급되는 백혈구제거 혈액만으로 감당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