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윤
연세의대 의료법윤리학과 교수

[의학신문·일간보사] 온 세상이 코로나-19로 어지러운 와중에 진료현장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의료기관 감염 관리 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으리라 생각된다.

환자안전 분야에서 의료기관 감염은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의료기관에서의 감염관리 분야는 의료인의 재감염 방지를 위한 시설, 의료기관의 환기시설, 환자간의 거리두기, 보호자와 간병인의 간병문제, 문병 문화 등 많은 부분에서의 변화를 요구하였다. 그 이후 많은 부분이 보완되기는 했어도 아직 완전히 해결된 상태는 아니었다.

의료기관은 환자 뿐 아니라 의료인에게도 감염의 우려에서 완전히 안전한 곳이라고 할 수 없다. 가급적 의료기관의 방문을 적게 하는 것이 적어도 감염 부분에서는 환자에게 유리하고, 특히 이번 코로나-19와 같은 상황 속에서는 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앞으로의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가급적 직접 방문을 줄이는 것이 감염으로부터는 안전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것이 이번 사태에서 원격의료에 대한 부분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원격의료에 대해서 의료계에서는 여러 반대의견이 있다. 환자를 직접 대면하여야 할 상황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그러한 상황이 어떠한 상황인지에 대해서 확실하게 정해서 절대 바뀌지 말아야 할 것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결국 바뀌어야 할 것은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 무엇일지를 찾아서 변화를 선도해 나가는 것이 결국 모두를 위해서 가장 좋은 일이 될 것이다.

진료 방식의 변화와 함께 의약품의 유통과 판매 방식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다.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집에서 원격의료를 통해서 진료를 하는 것이 보편화 된다면, 의사가 처방한 약을 약국 또는 제약회사를 통해서 환자의 집으로 직접 배달되는 시스템이 더욱 활성화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기술적으로는 이미 2000년 초에 가능하였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활성화 되지 못하였지만, 이제는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서 더 이상 미루어질 수 없는 상황에 이른 것으로 생각된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