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 환자 제한해 진료현장에서 아쉬운 목소리…질환조절과 정상적인 면역 체계 유지

[의학신문·일간보사=김상일 기자]선택적 세포억제 작용기전으로 정상적인 면역작용을 유지한 오바지오에 대한 급여 기준 완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차 경구형 치료제 사노피 젠자임 오바지오가 등장하면서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이 증가했지만, 그 동안 경구제 급여 기준에는 아쉬움이 남아있는 것.

주사제의 경우, 별도의 중지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여가 인정되며 급여를 인정받을 수 있지만, 경구제 오바지오의 경우 ‘신경과전문의가 진단해 지난 2년간 신경기능장애가 2회 이상 있는 환자’로 투여 대상이 국한돼 있다.

의료계에서도 근시일내 오바지오를 포함한 다발성경화증 치료에 쓰이는 1차 약제들의 급여기준이 맥도널드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전문가의 판단에 따를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오바지오는 활성화된 T-림프구 및 B-림프구의 증식에 선택적으로 작용, 이를 억제함으로써, 정상적으로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는 림프구에는 작용하지 않아 정상적인 면역작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오바지오는 지난 4월 열린 미국신경과학회(AAN)에서 발표된 TESMO 임상연구의 하위 분석 결과에서 오바지오는 모든 연령의 다발성경화증 환자에서 위약 대비 뇌위축 감소 효과를 보이면서 제품 효능에 대한 장점을 극대화시켰다.

2년의 기간동안 모든 연령대 환자에서 연간 평균 뇌용적 감소는 위약 대비 오바지오 14mg 에서 30.6% 낮았으며 특히 45세 이상의 환자에서도 뇌 용적 감소가 오바지오 14mg에서 위약 대비 3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긴장하고 있는 가운데 비영리단체인 국제다발성경화증협회(National MS Society)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다발성경화증 환자들의 장기적 질환 조절 치료 사용을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

가이드에 따르면, 아직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으로 인해 치료를 중단하는 것은 권고되지 않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유행 시에 각 개인의 치료 위험과 이익을 평가하고, 치료를 변경하거나 연기하는 것이 좋을지 결정하기 위해 전문의와 면밀히 상담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광국 교수는 “다발성경화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재발이 반복되면 완전히 호전되지 않고 장애가 남기 때문에 장기적 질환 조절 치료를 통해 재발을 막고 염증으로 인한 뇌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게 필요하다”며 “특히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면역체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장기적 질환 조절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우려가 많은데 임의로 치료를 중단해서는 안되고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면역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치료 옵션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