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협회, “2차 웨이브 가정 시, 제품 개발화 단계까지 정부 지원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김민지 기자] “국내기준으로 집단면역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백신 비축량은 약 50%이고 엄격한 조건하에서는 60%가 필요하다”

박호정 교수

27일, 박호정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대한약사회관에서 열린 ‘의약품정책연구소 1차 정책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에 따르면 COVID-19사태로 인해 제약사들은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고 있지만 부담감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세계에서 개발되고 있는 약물의 80% 이상은 임상 이전 초기단계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동일한 타깃에서 연구되는 약물이 있어 약물의 효과와 안전, 편이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 정부가 최적 비축규모를 파악해 현실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박호정 교수는 “최적비축규모는 백신소요비용과 사회적인 편익 등을 고려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백신으로 인해 나타나는 사회적 편익이나 비용 등 사회경제적인 효과를 역학모형과 연계한 것이 경제역학모형이다”며 “기초재생산수(R0)는 역학 조사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정보로 1차 감염자가 평균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는 2차 감염자의 수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로지스틱 분석 결과, 백신개발 성공 시 필요한 비축 규모는 R0 기준으로 감염가능 인구의 52%, 백신의 편익-비용을 고려시 감염가능 인구의 62%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는 “전국민 60%가 접종을 했다는 것은 안전하고 유효한 백신이 나왔다는 의미다. 백신은 건강한 사람한테 투여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담보돼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전세계적으로 2차 웨이브가 왔다고 가정하면 60%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다 맞을 수 있는 백신 확보가 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제약사의 치료제 개발을 지원해 줄 것을 강조했다.

엄 상무는 “감염병 사태에서는 치료제 개발 중 환자가 없어서 종식되는 사태가 항상 발생했기 때문에 약이 나올 수 없었다. 경제성이 없는 감염병 치료제와 같은 부분에서는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며 “현재 제약사들이 백신 제품 개발에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환자가 없어서 해외임상으로 나가야 하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현재 정부가 임상 1·2상을 지원해주고 있는데 3상 이후 제품 생산까지는 지원해준적이 없다”며 “결국 2차 웨이브까지 온다고 가정하면 제품 개발화까지도 정부가 지원해줘야 한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