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박정태 부회장,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 1년' 토론회서 강조

[의학신문·일간보사=정민준 기자]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을 위해 바이오 클러스터 재정비와 사업 연속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박정태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부회장(사진)은 20일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국가비전선포 1년, 바이오의약품 산업발전 현황과 전망‘ 토론회 발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박정태 부회장은 바이오 클러스터 재정비를 위해 국내에서는 단계적 바이오의약품 제조 허브로서의 입지 지속과 우수한 입주 기업 및 협력 인프라 보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정태 부회장은 또 바이오산업 SCM생태계 조성을 위해 송도 클러스터, 오송 클러스터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 송도와 오송를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도시로 성장시켜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정태 부회장은 특히 국내 바이오클러스터는 글로벌 공급사 생산과 물류거점 유치를 전략화해 아시아 지역 거점 도시로의 육성방안 또한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박정태 부회장은 “대외적으로는 바이오의약산업 분야의 세계화를 위해 해외 거점 확보가 요구된다"며 "IT 분야의 경우 Kotra 주관으로 실리콘 벨리에 거점이 존재하지만 바이오의약 분야에서는 현재까지 해외 거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박 부회장은 이어 "정부 주도로 해외 바이오의약산업 R&D 거점 확보를 통한 바이오 R&D 활성화와 라이선스 아웃 및 수출 촉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박 부회장은 사업연속성 시스템 구축을 위해 정부는 R&D 및 제품화 사업 지원을 통해 기업 니즈 중심의 투자를 통한 제품화 전주기에 대한 연속적인 지원 및 R&D 예산 배분의 효율적으로 진행해달라고 언급했다.

현재 정부는 바이오 전후방 산업 지원을 통한 산업화 및 수출 산업으로의 육성하고 있으며 바이오의약품은 매출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의 제품화 포트폴리오도 확대해 진행 중이다.

박 부회장은 끝으로 기업에게 “제품화를 목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며 “기업은 비용의 효율적인 연구 제품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기업체 간 혹은 산·학·연·병 협력을 통한 기술 상용화도 진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